서울대 청소노동자 사망사건 진상조사가 지지부진하면서 국회에서 청문회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배진교 정의당 원내대표가 19일 오전 대표단회의에서 지난달 26일 사망한 서울대 청소노동자 사건과 관련해 청문회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차원에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배 원내대표는 “청문회에서는 이번 갑질로 인한 사망사고만 짚지 않겠다”며 “유사한 죽음들이 왜 자꾸 서울대에서 이뤄지는지 이 기회에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9년에도 서울대학교의 창문 하나 없는 휴게실 찜통 더위 속에서 청소노동자가 사망했는데 2년 만에 반복된 이번 사건으로 서울대가 열악한 노동 현실, 노동인권에 대한 낮은 인식을 조금도 개선하지 않았다는 게 드러났다”며 “2019년 청소노동자 사망 이후 휴게실 환경 개선 등 서울대 노동환경 전반도 전체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지난달 26일 서울대 기숙사 청소노동자 휴게실에서 이아무개씨가 사망한 채로 발견됐다. 서울대 인권센터가 진상조사를 시작했지만 유가족과 민주일반노조는 ‘셀프 조사’라며 거부했다. 서울대 인권센터에는 운영위원으로 고인의 근무지 책임자였던 기숙사 관장 등이 포함돼 있다.
유가족과 노조는 관리자의 갑질이 고인 사망 원인이라고 본다. 지난달 부임한 관리자는 매주 회의를 열고 복장을 검열하고, 기숙사 이름을 영어나 한자로 쓰라는 시험을 봤다. 노조에 따르면 관리자는 제초작업이 어렵다는 노동자들의 말에 업무를 외주화하겠다고 발언했고, 고인이 이에 저항한 후 닷새 만에 청소노동자들이 맡은 모든 청소구역을 검열하는 ‘군대식 검열’을 했다. 노조는 노조가 참여한 공동조사단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협의체를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진상 조사를 하겠다고 밝힌 더불어민주당 산재예방TF 관계자는 “고용노동부가 서울대 특별근로감독을 해야 한다는 데에 중론이 모아졌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