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재원 금속노조 노동연구원 원장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금속노조 회의실에서 열린 ‘전환기 자동차산업과 노동의 대응방향 토론회’에 참석해 발제하고 있다. <임세웅 기자>

산업전환에 대응해 일자리를 지키려면 완성차노조가 부품사 노조와 공동행보로 그룹사 사업 전략에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금속노조가 24일 오후 서울 중구 노조회의실에서 전환기 자동차산업과 노동의 대응방향 토론회를 열었다. 이광규 전 민주노총 정책국장과 안재원 금속노조 노동연구원장, 이문호 워크인조직혁신연구소장이 의견을 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현대자동차·기아가 2025년까지 산업전환과 관련해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반면 노동조합은 한목소리를 내지 못한다는 문제가 제시됐다.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말 디젤엔진 신규개발 중단과 2030년 내연기관 신차 출시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까지 일정표를 구체화하고 있지만 노조는 현대차지부와 기아차지부, 현대모비스지회, 부품사지회들이 한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실정이다.

내연기관 부품을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사들은 자동차가 내연기관차에서 수소·전기 등 친환경차로 전환되면서 생존의 문제에 부닥쳐 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지난 10일 산업통상자원부 의뢰로 수행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기업 4천195곳, 10만8천명이 엔진·동력전달·내연기관 전기장치 등 사업재편 필요성이 높은 분야에 해당하고 이 중 2030년 기준 900개 기업이 감소할 전망이다.

이문호 워크인조직혁신연구소장은 “중소 부품사의 60% 이상은 자본·기술·전문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현재 일자리 지키기가 중요한 문제”라며 “이들을 끌어안지 않고 고용을 유지하려면 내연기관 자동차가 지속되길 바랄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그는 “금속노조는 정부 산업정책에 개입해 중소 부품사의 역량을 키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좋은 일자리 패러다임도 임금과 노동조건, 고용안정에 탈탄소라는 기준을 더해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품사지회는 노조가 부품사 노동자 실태조사를 하고 이들의 의견을 수렴할 것을 요구했다. 김용복 노조 경남지부 현대모비스지회 고용대책부장은 “부품사 지회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잦은 회의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면 그것만으로도 그룹사에 압박이 갈 것”이라며 “산업 전체가 스마트화하고 있는데 부품사들은 이를 따라가기가 쉽지 않은 만큼 노조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