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 해 문을 닫은 은행 점포가 304곳에 달했다. 2017년 312곳 이후 가장 많다. 금융당국은 3월1일 개정된 은행연합회의 자율협약 이행을 지원하고 반기마다 은행권 점포 운영 현황을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말 기준 국내은행 점포수는 6천405곳으로 2019년 말 6천709곳보다 304곳 줄었다고 7일 밝혔다. 모바일뱅킹 같은 비대면거래가 늘고 은행이 중복점포 정리에 나서면서 2017년 312곳 폐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은행은 30곳 점포를 신설했지만 폐쇄점포가 334곳에 달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국민은행 83곳, 하나은행 74곳, 우리은행 58곳, 부산은행 22곳, 신한은행 21곳 순이다. 신설점포는 기업은행 6곳, 우리은행 5곳, 국민·신한 4곳, 부산·광주 3곳이었다.

유형별로 보면 시중은행이 238곳을 폐쇄했고 지방은행은 44곳, 특수은행은 22곳을 폐쇄했다.

감소는 주로 수도권과 광역시 같은 대도시에서 나타났다. 폐쇄점포 가운데 251곳(82.6%)이 대도시 소재 점포다. 도시가 아닌 지역의 점포는 53곳이 문을 닫았다.

금감원은 지난 2월 은행의 가파른 점포폐쇄가 금융소비자의 소외 같은 불편을 부른다고 보고 제동을 걸었다. 은행 경영공시 항목에 국내지역별 영업점 신설·폐쇄 현황을 추가해 3월부터 은행연합회와 해당 은행 홈페이지에 게시하도록 했다. 또 금감원이 은행 점포 현황을 반기에 1회씩 발표해 점검하기로 했다.

그러면서 은행권의 점포폐쇄 관련 공동절차 이행을 지원하기로 했다. 은행연합회 차원에서 마련한 이 공동절차는 은행이 점포폐쇄 전 영향평가를 실시하고 고객보호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는 게 뼈대다. 점포폐쇄 전 영향평가는 고객에 미칠 영향과 대체수단 존재 여부를 분석하는 것으로, 독립성과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가 참여해 실시하도록 했다.

이런 대책에도 은행의 점포폐쇄가 지속하고 있지만 금감원은 추이를 보겠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점포폐쇄 관련 대응은 이제 시행에 돌입했고, 발표한 수치는 지난해 말 기준이라 올해 6월께 현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