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동의 없는 매각을 추진 중인 KT파워텔이 최근 주주총회를 열고 이사진 교체를 강행했다. 매각을 위한 주식매매거래 종료 전까지 현 이사진을, 매각거래 종료일부터 인수자쪽 이사진을 선임하기로 했다.
21일 KT파워텔노조(위원장 박갑진)에 따르면 KT파워텔은 19일 오전 서울 양천구 KT 정보전산센터에서 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안건은 이사 선임건과 재무제표 승인건 등 3개 의결 안건과 2개 보고안건이다.
이날 KT파워텔은 김윤수 사장을 비롯한 이사 5명을 이날부터 KT와 ㈜아이디스가 체결한 주식매매계약에 따른 거래종료일까지 이사로 선임하고, 거래종료일부터 2024년 정기주주총회까지 아이디스쪽 인사 7명을 새 이사로 선임하기로 의결했다. 회사 경영권을 이전하는 작업을 회사 매각이 최종 결정되기도 전에 마친 셈이다.
노조는 반발했다. 박갑진 위원장은 “주총 현장에서 매각 부당성을 강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소액주주 자격으로 주총에 참여한 노조는 반대 설명 이후 주총장을 빠져나왔다. 안건은 44.85% 지분을 가진 KT쪽의 주도로 이변 없이 원안대로 가결됐다.
이번 주총 안건 상정은 공익성 심사 기각에 대비한 전략이라는 평가다. 1월22일 KT파워텔 지분을 아이디스에 매각한 KT는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공익성 심사를 기다리고 있다. KT파워텔처럼 주파수를 할당받은 통신사 경영에 중대한 변경이 있을 때 실시하는 정부절차다. 주파수 사업자의 매각이 공익에 악영향이 없는지 심사하는 것으로, 과기부는 현재 공익성심사위원회 개최를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공익성심사위가 기각 결정을 내리면 매각은 무효가 된다. 다만 공익성심사위 결정과 실제 매각 거래종료 간 시점이 너무 벌어지면 가처분 신청이나 소송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통신업계 노동자들은 KT파워텔 매각에 반대하고 있다. KT노조를 비롯해 SK텔레콤노조와 LG유플러스노조는 KT파워텔 매각 반대 집회에 참석하고 정부에 탄원서를 제출했다. 전환희 SK텔레콤노조 위원장은 “(이동통신사가) 고객 피해는 고려하지 않고 자본의 논리로만 합병을 진행하는 행태에 정부기관이 제동을 걸어야 한다”며 “통신과 관계없는 회사가 KT파워텔을 매수해 운영하면 무전통신 서비스 품질이 하락하고, 곧 국가 산업을 책임지는 무전통신산업 쇠퇴로 이어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창훈 LG유플러스노조 위원장도 “구현모 KT 대표의 개인성과를 높이기 위해 소통 없이 진행한 매각”이라며 “원점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