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가 부산항 보안인력에 영향을 미칠 보안체계 개편 용역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도입해 IT 보안시스템을 구축하고, 보안인력 운영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는 게 목표다. 장기적으로 부산항보안공사와 부산신항보안공사로 이원화한 부산항 보안체계 자체에 칼을 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18일 <매일노동뉴스> 취재 결과 부산항만공사는 1월18일 4차 산업 기반 부산항 보안체계 개편 연구용역을 고려대 산학협력단에 발주했다. 용역기간은 1월18일부터 5개월 동안이다. 예산은 9천만원이 편성됐다. 당초 지난해 10월 한 차례 연구용역을 발주했으나 단독응찰로 유찰됐고, 다음달 재공고한 용역도 단독응찰로 유찰돼 수의계약으로 고려대 산학협력단과 계약했다.

연구용역 목적은 IT기술 적용과 보안인력 운용 효율화 방안 제시다. 용역을 통해 △항만별 취약점 진단·분석 △보안방호 시설진단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가시적·과학적 분석 결과 제시 △경비인력 관리·임무수행 능력 및 상황실 구성·운영의 정량 분석을 통한 종합 개선계획 수립 △4차 산업 기반 스마트 항만보안 시스템 도입 및 보안시스템·보안인력 통합 운영계획을 수립하겠다는 것이다.

부산항만공사 관계자는 “상황실로 오는 신호체계를 점검해 고도화하고 적용 가능한 스마트 항만보안 기술이 있는지 점검해 제언을 받겠다는 것”이라며 “부산신항을 운영하면서 기존 부산항의 부두폐쇄 등이 잇따라 보안체계 변화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볼 필요가 있었다”고 용역 발주 이유를 설명했다.

부산항보안공사와 부산신항보안공사로 이원화한 체계를 통합하는 제안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연구용역상 보안인력 운영 진단 및 개선 과제를 보면 시스템과 인력을 통합하는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현 경비인력 배치와 운영 분석을 통해 인력 효율화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기술 도입을 근거로 한 인력구조조정 우려가 생기는 대목이다.

현재 부산항 보안체계 개편 필요성은 있다는 지적이다. 부산신항이 문을 연 뒤 기존 부산항 부두를 폐쇄하면서 청원경찰로 구성된 부산항보안공사는 인력 재배치와 노동환경 개편이 필요한 상황이다. 청원경찰이 아닌 민간 경비용역으로 구성된 부산신항보안공사는 청원경찰 신분인 부산항보안공사 노동자와 비교해 임금 등 처우가 낮아 개선이 필요하다. 신항 이용이 늘면서 인력부족 문제도 커지고 있다.

연구용역 사실이 알려지자 노동자들은 고용불안이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심진오 부산항보안공사노조 위원장은 “용역 결과에 따라 부산신항보안공사와 부산항보안공사의 운용 방식, 보안노동자의 인력구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며 “효율화를 앞세워 인력구조조정을 할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해 노동자의 고용불안을 심화할 수 있어 불안감이 퍼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