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관광숙박업·여행업을 지원하기 위해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연장하고 7천102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도 편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4일 입장문을 통해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에 따라 폐업이 속출하고 있는 관광숙박업·여행업에 대한 특단의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의원은 “한국호텔업협회에 따르면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지난해 호텔 평균 객실이용률이 1월을 제외하고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급감했다”며 “호텔업 객실·부대시설 매출액은 전년 대비 60~70% 감소한 것으로 추정했다”고 설명했다.
관광숙박업·여행업 등 8개 업종은 올해 3월31일이면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이 종료한다.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에 따라 지난해 기준 호텔업 종사자 약 5만5천명 중 2만1천835명이 고용유지 조치에 따른 고용유지지원금을 받고 있다.
이 의원은 관광숙박업·여행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 연장과 연계사업인 유원지 시설업을 신규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해당 업계 생존과 고용유지를 위해 정부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이번 추경에서 7천102억원을 편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여행업계 재난지원금(3천900억원), 축제산업 현장지원(340억원), 관광사업체 피해지원(1천587억원) 등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예산 5천826억8천만원 증액을 제안했다. 관광숙박업·여행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기간 연장(180일→240일)과 유원지 시설업 신규지정을 위해 고용노동부 소관 예산 1천275억2천만원이 필요하다고 봤다.
정부는 4차 재난지원금을 포함한 올해 첫 추경안을 다음주께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한 유영민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장은 “4차 재난지원금이 포함된 추경안을 국회에서 신속히 심의해 달라”며 “3월 내 처리될 수 있도록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