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연일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위기 대응을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16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에 의하면 지난달 취업자 감소 폭이 100만명에 육박하고 실업자도 150만명을 넘어서는 등 고용상황이 심각하다”며 “민생 측면에서 매우 아픈 일”이라고 밝혔다. 그는 “더욱 아프게 느껴지는 것은 업종별·계층별 양극화가 심화한 것”이라며 “일자리의 양극화는 곧바로 소득 양극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고용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비상한 대책을 시급하게 강구하라”며 “수출 호조 등 국가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만 고용 회복에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공공부문과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로 당장의 고용한파를 이겨 나가야 한다”고 지시했다. 그는 공공부문 일자리를 강조했다. 공공부문이 합심해 1분기까지 90만개 이상 직접 일자리를 창출하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고용충격이 큰 업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고용유지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도 신속하게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특별고용지원업종과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강화한다. 그는 “1월의 고용충격을 딛고 2월을 변곡점으로 해 빠르게 고용회복의 길로 들어설 수 있도록 범부처적인 총력체제로 대응해 달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도 “역대급 고용위기 국면에서 계획하고 예정했던 고용대책을 넘어서는 추가 대책을 비상한 각오로 강구해 달라”고 지시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국토교통부 업무보고에서 “지금 이 시기에 국토부가 반드시 성공시켜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가 부동산 정책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며 “2·4 부동산 대책을 중심으로 주택 가격과 전월세 가격을 조속히 안정시키는 데 부처의 명운을 걸어 달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