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KB국민은행지부(위원장 류제강)가 금융위원회에 리브엠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취소를 요구했다. 리브엠 사업은 금융 서비스와 알뜰폰 서비스를 결합한 상품이다. 오는 4월 금융위의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기간 만료를 앞뒀다. 2019년 KB국민은행은 통신과 금융을 융합해 신규 고객을 확보하겠다는 취지에서 혁신금융서비스를 신청했고, 금융위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금융권 1호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다.

4일 지부는 지난 15일 지정 취소를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지정 취소 사유를 담은 진정서를 금융위에 발송했다. 리브엠 사업이 지정 당시 금융위의 요구와 달리 은행의 고유업무를 방해하는 등 취소 사유가 명확하다는 입장이다.

지부는 은행이 리브엠 사업을 운용하면서 지역별 영업그룹장의 인사평가에 알뜰폰 판매 실적을 적용하고 △창구 판매채널 확대 △알뜰폰 연계 전용 금융상품 판매 △영업점별 알뜰폰 전담직원 지정 △영업점 핵심성과지표(KPI) 반영 시도 △포상을 통한 직원 실적경쟁 유도 △판매 실적·순위 게시를 통한 직원 가입 강요 등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 가운데 노동자에 대한 KPI 적용은 지부 반발로 무산했다.

실제 국민은행은 알뜰폰 가입·사용시 연이율 10%가량의 금리를 적용하는 상품을 출시하는 등 알뜰폰 판매를 독려했다.

지부 관계자는 “고객뿐 아니라 직원에게도 가입하도록 강요하고, 가입한 실적을 다른 지점과 비교해 내부 인트라넷이나 사내 메신저를 활용해 공유했다”며 “이 같은 행태가 은행의 고유업무를 방해하는 상황이라고 판단해 취소를 요구했다”고 전했다.

가입 강요 행위가 국민은행 본사 차원에서 실시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실제 본사 인사정책 등에는 이런 행위가 담겨 있지 않다. 지역별 영업그룹장 인사평가 반영도 일괄적용하는 것은 아니다. 국민은행은 지역별 영업그룹장이 자신의 평가 항목을 고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항목 가운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항목 17개 중 1개가 리브엠 관련 알뜰폰 판매다.

그러나 선택할 수 있다고 해도 지역별 영업그룹장의 인사평가에 알뜰폰 판매 실적 등을 포함한 것은 사실상 실적압박으로 볼 여지가 크다. 지부 관계자는 “영업그룹장이 인사평가를 위해 노동자를 독려할 개연성이 높다”며 “실제 노동자가 현장에서 지역그룹장의 독려를 강요로 받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15일 리브엠 사업 연장을 요구하는 신청서를 금융위에 냈다. 국민은행쪽은 “지정 연장을 통해 그간 축적한 경험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금융·통신 결합서비스 및 복합상품을 추가 출시하고 고객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는 등 금융소비자 편익증대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