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손실보상제와 이익공유제가 신종 감염병 재난을 함께 이겨내는 포용적인 정책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27일 오후 세계경제포럼(WEF)이 주최한 ‘다보스 어젠다 한국정상 특별연설’을 통해 “코로나19 방역조치로 영업금지·제한을 받는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대한 손실보상제와 코로나 승자 기업의 자발적인 출연으로 코로나 약자들을 돕는 대신 정부가 강력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이익공유제가 정부와 국회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보스 어젠다 주간은 이달 25~29일 화상회의로 열린다. ‘신뢰 재건을 위한 중요한 해’를 주제로 국가정상 특별회의, 고위급 회의, 주제별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EU·중국·인도 등 13개국 정상과 UN 사무총장이 참석한다.

문 대통령은 특별연설에서 코로나19 극복을 통한 일상의 회복과 기후변화 대응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해 책임 있는 중견국으로서 역할을 밝히면서 △코로나19 대응 글로벌 보건의료 협력 △한국판 뉴딜과 사회안전망 확충 △2050 탄소중립 등 기후변화 대응 △글로벌 기업들의 한국투자 유치 지원을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 방역과 경제위기에 대처하는 것만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양극화와 불평등을 막기 위해 인류가 지혜를 모으는 일도 중요하다”며 “전 세계와 함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와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에 적극 동참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 26일 저녁 9시부터 40분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하면서 2022년 한중수교 30주년을 앞두고 ‘한중관계 미래발전위원회’를 통해 향후 30년의 발전 청사진을 함께 구상해 나가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27일 서면브리핑에서 이같이 전하는 한편 “양 정상은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포함한 고위급 교류 활성화를 위해 계속 긴밀하게 소통·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