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지연 참세상 기자

“선아(가명)가 나왔는데 경찰은 뒤에서만 있고 어선이 와서 구출했대요. 실제 영상도 있어요. 해경은 옆에 있고 어민이 구하는 영상이요. 아이들이 경찰을 더 싫어하는 것 같아요. 왜 그 상황에서 그랬는지 모르겠어요.”(생존 학생 오아무개군의 가족)

“(정보를 전달해 주는 사람들은 주로) 기자들이에요. 박근혜 대통령이 와서야 큰 스크린이 설치됐어요. 그게 전부였어요. 아무것도 알 수가 없으니까 그거라도 해 달라고 해서 설치가 됐던 것 같아요.”(희생 학생 고아무개군의 가족)

“가족도 찾고 진실도 밝혀야 하고. 그런데 인양이 언제 되냐고요. 지금에서야 인양을 준비할 수 있는 건지 갑갑해요. 수색을 종료하면 (인양)할 것처럼 하더니 해 주지도 않고. 겨울이라서 물살이 세서 못한다고만 합니다.”(미수습 희생자 유아무개씨 가족)

“저는 서명 받으러 갔다가 '너희들이 유가족을 이용하느냐, 이 빨갱이 새끼들아' 그러더라고요. 그때는 싸울 수가 없으니까 서명 받다가 울었어요. 해도 해도 너무하지 않나요. 다짜고짜 '빨갱이'라며 유가족인 거 증명하라고 하더라고요.”(희생 학생 최아무개군의 가족)

유가족과 생존자 등 45명의 증언록

4·16연대가 15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주최한 ‘세월호 참사, 인권으로 기록하다’ 인권실태조사 보고대회에서 쏟아진 증언이다. 이날 나온 보고서는 4·16인권실태조사단이 올해 2월부터 5개월간 희생자 유가족을 비롯해 생존자와 그 가족·미수습자 가족·학교 관계자·민간잠수사·진도 어민·자원봉사자 등 45명을 만나고 기록한 증언록이다. 조사단에는 인권활동가·사회복지사·의사·연구자·학생·작가·변호사·노조 활동가 등 46명이 함께했다.

김우 마포지역 4·16모임 대표는 보고서에 대해 “세월호 참사의 진실이 전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이전 사회로 돌아가서는 안 된다는 사실은 명확하다”며 “다른 사회로 가기 위해 수장된 권리를 끌어올리는 힘찬 발걸음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단원고 실종학생 허다윤양의 부친 허흥환씨는 “304명을 수장시킨 이 정부에 인권이 존재하긴 하냐”며 “하루속히 선체 인양을 통해 가족을 찾고 진실을 밝힐 수 있도록 끝까지 도와 달라”고 호소했다.

세월호 참사는 인권침해 사건

4·16연대와 조사단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세월호 참사는 인권침해 사건”이라고 정의했다. 이들은 “세월호 참사는 우리 사회가 얼마나 구조적으로 취약하며 위험한지 보여 줬다”며 “천재지변이나 우발적 실수로 인한 게 아닌 노후선박 운항 연령 연장과 증·개축, 과적, 고박(고정) 규정 미이행 등 안전에 관한 모든 문제가 드러난 참사였다”고 밝혔다. 또 승객들을 구조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생존자들은 ‘우리는 구조된 것이 아니라 탈출했다’고 증언하고 있다”며 “지금까지 구조되지 못한 9명이 바다에 그대로 있는 등 구조하지 못한 것인지, 구조하지 않은 것인지 의혹이 여전히 남는다”고 주장했다.

알 권리도 부정당했다고 규정했다. 이들은 “정부는 진상규명을 위해 모이고 연대한 이들을 탄압했다”며 “4·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세월호진상규명법)과 시행령 제정 과정이 이를 설명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4·16연대와 조사단은 “세월호 참사 자체가 우리 사회의 드러나지 않은 인권침해가 돼 버린 것은 아닌지 안타깝다”며 “이 보고서가 세월호를 인양하고 미수습 희생자들을 수습하고 참사의 진실을 밝히는 촉진제가 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