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의 급등락이 대외개방도가 높은 제조업부문의 고용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은 지난해 10월에 발표한 ‘환율변동과 고용 간의 동태적 관계 분석’에서 급격한 환율변동이 대외 교역비중이 높은 기업에 큰 부담으로 작용해 고용을 악화시킨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환율 변동이 심하면 기업이 적정 노동수요에 대해 예측할 수가 없다”며 “불확실성으로 인해 고용에 경직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환율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개별기업이나 산업의 대외개방도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전제에서 전체 산업과 제조업, 서비스업 등으로 나눠 ‘환율-고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환율이 고용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출집약도·수입침투율·수입투입재비중 등을 변수로 설정했다. 세 가지 요인을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로 나눠 분석했다.

연구원의 이 같은 분석에서는 환율상승이 전산업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상승 2개월 뒤 가장 충격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환율충격으로 인한 고용변화는 제조업이 상대적으로 서비스업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에서의 환율충격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외환위기 이전보다 이후에 더욱 높았다. 외환위기 이후 형성된 ‘고용없는 성장구조’도 한 요인이다. 반면 서비스업의 고용은 환율변동과는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외환위기 후 더욱 확대된 제조업부문의 대외개방성으로 인해 환율충격에 대한 고용의 반응이 크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Tip ‘환율상승=원화가치 인하’
환율은 어떤 나라의 통화와 다른 나라 통화와의 교환비율이다.
환율을 거론할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환율의 상승 또는 하락이다. 우리나라 환율은 1달러에 해당하는 원화의 가치를 표시하고 있다.  달러와의 환율이 우리나라의 ‘기준환율’이다. 엔화와 유로화 등은 기준환율을 통해 간접적으로 산정한다.

통상적인 환율상승은 1달러를 기준으로 원화의 가치가 낮아졌다는 뜻이다. 환율이 1천300원에서 1천400원으로 상승했다는 것은 100원만큼의 원화가치가 낮아진 것이다. 환율상승은 ‘원화의 평가절하’ 또는 ‘원화약세’로 표현된다. 환율인하는 이와 반대다. 달러당 표시되는 원화 액수는 줄어들지만, 그만큼 원화의 가치는 높아진다. ‘원화 평가절상’ 또는 ‘원화강세’로 표현된다. 환율변동에는 외환시장에서의 수요공급의 법칙이 적용된다.

환율변동은 각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제도에 따라 다르다. 고정환율제와 변동환율제로 구분된다. 고정환율제는 기준환율이 일정한 폭 안에서 고정돼 있다는 의미다. 변동폭이 1% 정도에 불과하다.  시장에 대한 정부의 영향력이 큰 중국이 대표적인 고정환율제도를 취한다. 변동환율제는 시장의 추세에 따라 변동되는 제도다. 상대적으로 환율변동폭이 크고 시장에 대한 정부의 지배력이 약하다.  우리나라는 고정환율제에서 현재의 변동환율제로 이행하는 과정을 거쳤다. 정부수립 이후 시행해 온 고정환율제도를 단일변동환율제도(64년)와 복수통화 바스켓 환율제도(80년)로 변경했다.

변동환율제도의 초기단계인 시장평균환율제도를 90년에 도입한 데 이어 97년부터는 완전한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환율의 하루 변동폭은 상하 0.4%(90년), 1.5%(94년), 2.25%(95년), 10%(97년 11월) 등으로 점차 확대됐고, 97년 12월에 폐지됐다.

 
<2009년 3월30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