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는 13일 “영업시간변경 시행을 유예하기로 했지만 노사가 시간외수당 지급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며 “금융노조 소속 16개 시중·지방은행과 6개 국책기관, 10개 유관기관 등 금융기관별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대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업시간변경 TFT는 오는 20일께 구성될 예정이다.
그동안 은행권 직원들은 시간외근무를 사전에 허락받거나 사후에 보고하는 방식으로 수당을 받았다. 그렇지만 시간외수당 발생금액이 영업점 경영평가에 부정적으로 반영되면서 스스로 신청하지 않거나 못하는 경우가 상당수 발생했다는 것이 금융노조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금융노조는 최근 '근무확인시스템 개발'을 핵심내용으로 하는 영업시간변경 기준안을 내놨다. 은행업무가 상당부분 컴퓨터(PC)를 통해 수행되는 만큼 메신저를 통한 PC사용자 확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자는 것이다. 반면 고객마케팅이나 여수신 자료 정리·품의서 작성 등 전화나 서류정리를 주된 업무로 하는 직원들에 대한 대책은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한편 기업은행은 최근 본부와 영업지점별 경영평가에 노동시간정상화 노력도를 5% 한도에서 반영하기로 했다. 또 인사에 반영되는 상사평가 설문에도 노동시간과 관련한 항목을 넣기로 했다. 정성훈 기업은행지부 국장은 “경영평가와 승진평가에 본부장이나 지점장이 노동시간 정상화를 위해 노력했는지를 반영하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매일노동뉴스 1월1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