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노동계는 이번 최저임금 결정에 대해 다소 부족하지만 무난했다는 표정을 나타냈고 있다. 민주노총은 “당초 노동계가 전체 노동자 임금의 50% 달성을 목표로 내걸어 주40시간 기준 4,200원을 요구했던 데 비하면 매우 부족하다”면서도 “아쉬움 속에서도 수백만 최저임금 노동자의 생계가 달린 최저임금 협상을 최선을 다한 만큼 교섭의 결과에 위안을 삼는다”고 29일 성명을 냈다.
민주노총은 또한 매년 협상마다 문제로 지적해 왔던 공익위원들에게도 “최저임금 결정과정에서 공익위원들이 중소기업 임금교섭을 중재하던 과거 관행에서 벗어나 최저임금법에서 결정기준으로 명시하고 있는 생계비, 유사노동자의 임금, 노동생산성, 소득분배율을 근거로 최저임금 인상범위를 제출했다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한국노총 역시 “당초 요구안에 비한다면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이번 결정안이 최저임금을 적용받는 노동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랄 뿐”이라며 “택시노동자 문제와 주40시간제에 따른 문제점들에 대한 권고안을 채택한 것도 나름대로의 성과”라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한국노총은 “최저임금 협상에서 매년 양대노총이 끈끈하게 연대하고 있는 것도 작은 신뢰를 쌓아가고 있는 큰 기초”라고 평가했다.
반면, 경영계는 “한계·영세기업의 도산과 저임금 근로자들의 일자리 축소 등 고율 최저임금 인상이 가져올 폐해를 막아달라는 입장이 반영되지 않아 매우 유감스럽다”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경총은 이날 성명을 내 “우리 기업 환경은 최근 환율, 유가 등 대외여건 악화로 인해 IMF 위기와 버금갈 정도로 큰 어려움에 처해 있다”며 “최저임금 인상이 저임근로자의 생활을 향상될 수 있을지 모르나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노동시장 밖에서 대기하고 있는 더 많은 국민들에게 일자리를 찾아볼 기회조차 박탈하는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