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이들은 노사정위원회를 통해 계획안이 확정된다면 정부에 공식적으로 재정지원을 요청할 계획임을 밝혔다. 아울러 한국노총과 경총은 각각 노동계와 경영계에서 일정부분의 기금을 조정해 이를 뒷받침하기로 했다.
16일 현재 주요 사업내용은 이들 두 노사 단체간 의견조율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상태지만, 이에 따르는 인력과 재정 문제 등 세부적인 계획은 좀더 논의를 이어가야 하는 상황이다. 물론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은 초기자본 마련과 상시적이고 안정적인 기구 운영을 위해 약 2천억원의 기금이 필요하다고 설명해 왔다.
이에 따라 한국노총과 경총은 노사정위를 통해 안이 확정되면 정부에 공식적인 지원 요청을 한다는 계획이다. 이들은 그 근거로 지난 98년초, 노사정위원회 합의 사항을 들었다. 노사정위에서 노사정은 “노사는 노사단체 공동으로 가칭 노사협력지원센터를 구성하여 개별기업 노사분쟁의 원만한 해결과 부당노동행위 근절 및 노사협력 촉진 등을 추진한다”고 이미 합의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들은 ‘노사발전재단’을 노사정위 안건으로 올려 확정할 것인 만큼, 그 근거는 충분히 마련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를 통해 이들은 정부뿐만 아니라 국회에서도 재단설립을 위한 재원 마련을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들은 노사 각 단체가 일정부분의 기금을 마련해 이를 뒷받침하기로 했다. 최재황 경총 정책본부장은 “노사 단체가 일정부분의 재정 마련을 하기로 했고 이에 따라 경영계에서도 기금 마련에 나설 것”이라며 “다만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재정 및 인력 운영안이 나오지 않은 만큼 기금조성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용범 한국노총 기획조정본부장도 “마련할 수 있는 능력 안에서 노동계도 최대한 기금을 조성해나갈 것”이라며 “아울러 노사정 합의를 통해 정부나 국회에서도 기금을 마련해 줄 것을 끊임없이 요청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