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소속 노동자들이 20일 오후 국회 앞에서 임금 인상과 차별 철폐 등을 요구하는 파업대회를 하고 있다. <정기훈 기자>

학교비정규 노동자들이 최저임금에 미달하는 기본급 인상을 요구하며 권역별 릴레이 파업에 돌입했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여성노조·학교비정규직노조)는 20일 오후 국회 앞에서 주최쪽 추산 5천여명이 참석한 파업대회를 열고 “교육당국 무책임이 파업을 자초했다”고 강조했다. 연대회의는 이날과 21일 그리고 다음달 4~5일 나흘간 학교비정규직 4만여명이 파업에 참여한다고 알렸다. 이날은 서울·인천·강원·세종·충북지역 조합원들이 파업에 나섰다.

연대회의는 △최저임금에 미달한 기본급(2유형) 인상 △정규직과 동일 기준을 적용한 명절휴가비 △방학 중 무임금 대책 △급식 산재 종합대책 등을 요구해왔다. 연대회외와 전국 시·도 교육청 및 교육부는 3개월간 교섭했지만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해 결렬했다. 이르면 27일께 교섭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지만, 노사 간 입장차가 커 연내 타결 전망은 낮다.

연대회의는 이날 채택한 결의문에서 “정부와 국회의 책임이 중요하고 시급하다”며 “학교비정규직 차별 해소를 위한 예산을 편성하고, 이재명 정부는 저임금 구조를 해결하고 급식 산재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는 1호 정책 협약을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는 이날 방학 중 무임금 대책과 관련해 별도의 보도자료를 내고 요구안을 설명했다. 일부 언론은 이날 “방학에는 일이 없어 급여 지급이 어렵다”고 보도했는데, 방학 중에도 업무 수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본부는 “방학 중에도 급식시설 유지·보수와 다음 학기 준비 등 지속적 업무 수요가 존재한다”며 “학기와 방학 여부에 따라 교육복지 수요의 모양이 달라질 뿐 소멸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일부 교육청은 노사 간 협의로 방학 중 업무를 합의해 근무일수를 상향해 왔다”며 “인구위기 등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복지 수요가 다각화하며 방학 중 업무 범위가 새롭게 발생할 여지가 있다”고도 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