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학교비정규 노동자들이 저임금 구조·급식 산재 대책을 촉구하며 20일부터 이틀간 파업에 돌입한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여성노조·학교비정규직노조)는 20~21일과 다음달 4~5일 나흘에 걸쳐 릴레이 파업에 돌입한다고 19일 밝혔다. 연대회의는 지난 8월부터 17개 시·도 교육청, 교육부와 4차례에 걸쳐 본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하지 못했다. 지난 13일 4차 본교섭에서도 이견은 좁혀지지 않았다. 연대회의는 급식노동자 산재 종합대책과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기본급(2유형)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기본급·근속·복리후생수당 인상을 촉구해왔다. 근속수당 급간액은 현행 4만원에서 5만원으로 인상하고 23년차에 발생하는 상한을 폐지하라는 요구다. 또 명절휴가비는 연 185만원을 지급하던 것을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기본급의 120%를 설과 추석에 절반씩 나눠서 지급하라고 주장해왔다.

연대회의는 나흘간 총 4만여명의 노동자가 파업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조합원 5천명이 파업 당일마다 오후에 국회 앞에서 총파업대회를 진행한다. 파업은 권역별 릴레이로 진행되는데 20일에는 서울·인천·강원·세종·충북이, 21일에는 전북·전남·광주·제주 지역 노동자들이 파업한다. 12월4일에는 경기·대전·충남에서, 12월5일에는 부산·울산·대구·경북·경남 노동자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연대회의는 “정부와 국회는 정규직과 차별을 해소할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며 “저임금 구조를 개선하고 급식 산재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한 이재명 정부 1호 정책 협약을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