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의 유일한 공공재활병원인 경북권역재활병원 노동자들이 다음달 1일 파업을 예고했다. 이들은 저임금과 열악한 처우로 비정규직 고용률이 점점 높아지는 병원 현장을 개선하기 위해 경북도와 경산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대구지역지부는 29일 오전 경북 경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북권역재활병원 노동자들이 첫 파업을 선포한다. 이대로는 환자 안전과 지역 공공재활병원의 미래는 없다”고 밝혔다.
경북권역재활병원 노사는 올해 임금·단체교섭을 진행했지만 입장을 좁히지 못했다. 경북지방노동위원회 쟁의조정도 중지됐다. 지부 경북권역재활병원분회는 최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해 투표율 90%, 찬성률 92%로 가결했다. 이에 따라 10월1일 파업에 돌입한다고 예고했다.
쟁점은 임금과 고용구조 개선이다. 경북권역재활병원은 2021년 경산시에 개원해 지역 유일 공공재활병원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런데 임금이 낮아 퇴사가 잇따랐고, 정규직 일자리가 난 자리는 비정규직으로 채워졌다. 분회에 따르면 이날 기준 비정규직 고용률은 35%에 다다른다.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임금도 문제다. 주 40시간 일하는 비정규직 간호조무사와 원무직 신입은 6급 1호봉을 받는데, 150만원 남짓한 기본급과 각종 수당을 합하면 세전 월 급여로 201만원을 받는다. 올해 기준 최저임금은 209만원으로 최저임금 위반과 임금체불 문제가 불거졌고 분회 요구로 체불임금은 지급됐지만 임금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김영희 의료연대본부 대구지역지부장은 “임금이 최저임금에도 미달하고, 간호사 야간간호특별수당과 명절가산수당도 지급하지 않아 정부 지침을 위반하고 있다”며 “경산시가 운영비를 지원하지 않으면 병원 운영이 불가능하다. 경산시도, 경상북도도 아무도 재정을 책임지지 않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이어 김 지부장은 “시민들에게 좋은 공공재활병원을 만들기 위해 노동자들이 파업과 투쟁에 나섰다”며 “공공재활의 가치를 지킬 수 있도록 병원장과 경산시장은 노조와 대화에 나서달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