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5명 중 1명은 직장 안 성범죄 피해 신고시 불이익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범죄 처리 관련 회사나 제도에 대한 직장인의 신뢰도가 높지 않은 것이다.
직장갑질119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설문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직장갑질119는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 지원으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7월1일~7일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직장인의 12.8%는 일터가 안전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 같은 응답은 남성(9.7%)보다 여성(16.3%)이, 정규직(10.8%)보다는 비정규직(15.8%)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사업장의 성범죄 예방활동도 부족했다. 직장에서 실태조사나 교육 등의 예방활동이 이뤄지는지 물었더니 “직장인 19.1%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신고 효과를 불신하는 응답자도 적지 않았다. 응답자의 18.4%는 성범죄를 신고해도 피해자 보호조치가 잘 이뤄지지 않을 것 같다고 답했다. 성범죄 피해를 신고한 뒤 불이익을 당할 것이라 우려하는 이는 5명 중 1명꼴인 19.3%였다. 신고 뒤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하는 응답자는 23.1%로, 가해자로부터 보복을 당할 것이라는 직장인도 20.7%였다.
직장갑질119는 성범죄 예방조치가 형식적으로만 시행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사용자가 성범죄 예방 및 피해자 보호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때 법적·제도적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세정 공인노무사(직장갑질119)는 “이번 조사 결과는 직장내 성범죄 관련 법·제도와 법상 의무 주체인 회사에 보내는 초라한 성적표”라며 “특히 여성과 직장인이 일터 불안을 더 높게 응답한 것을 고려해 성별·고용형태 등 노동자 특성을 고려한 세밀한 성범죄 예방·해결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