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수능 접수가 21일부터 시작하는 가운데 시험장 감독관으로 일하는 전국 중·고교 교사가 감독수당 인상 같은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중등교사노조(위원장 원주현)는 18일 전국 중·고교 교사 3천1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진행됐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감독관 업무 부담감을 호소했다. 99.4%는 악성민원을 염려했고, 99.7%가 중압감을 느꼈다. 감독업무를 하다 수험생에게 해가 될 것을 우려해 책임감을 느끼는 이들은 99.5%로, 방송·장비 같은 문제로 긴장했다는 응답자도 98.8%나 됐다. 특히 수능 당일 방송·타종 업무를 감독관 교사가 아닌 외부업체가 맡아야 한다는 의견에 95.2%가 동의했다. 문제가 발생하면 법적 책임이 교사 개인에게 전가되는 데 부담을 느낀다는 것이다.
실제로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공개한 최근 5년 수능 감독관 관련 국가 상대 소송 현황에 따르면 총 5건의 소송이 타종 오류 등을 이유로 진행됐다. 이 중 3건은 수험생에게 최대 700만원을 물어 줬고, 2건은 소송이 진행 중이다. 현행 17만원인 감독수당에 대해서도 99.2%가 인상에 동의했다. 감독업무가 교사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노조는 수능 감독 제도개선을 위한 6대 요구안으로 △감독수당 현실화 △휴게시간 보장 등 감독 환경 개선 △감독관 직군 다양화 △전문 인력이 방송·장비 관리 △수능 감독 뒤 회복권 보장 △직군별 위촉 현황 및 지침 공개를 꼽았다.
원주현 위원장은 “수능 감독은 교사 개인의 안전·건강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교육부와 교육청은 제도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