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화력발전소에서 나홀로 일하다 기계에 끼여 숨진 고 김충현씨가 숨진 지 73일 만에 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협의체가 출범했다.
고 김충현 사망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발전산업 고용·안전 협의체는 13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출범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위원장을 포함한 위원 15명과 자문위원 12명으로 구성된다. 위원장은 대법관을 지낸 김선수 사법연수원 석좌교수가 맡았다. 위원으로는 국무조정실·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 관계자 각 1명으로 구성된 정부측 인사 4명과 대책위 소속의 현장 노동자 4명, 6명의 전문가가 함께한다. 자문위원은 정부와 대책위가 각각 6명씩 추천했다.
김선수 위원장은 “정부와 공기업은 좋은 사용자로서의 모범을 보여야 한다. 공기업에서 노동자가 산재로 사망하는 사태만큼은 막아야 한다”며 “이 사건을 어떻게 처리하는가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노동정책의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더이상 위험의 외주화로 하청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발전노동자들이 고용불안 걱정없이 근무할 수 있는 직장을 만들기 위한 여건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장 노동자를 대신해 대책위 위원으로 참여한 김영훈 공공운수노조 한전KPS 비정규직지회장은 “현장의 모든 발전소 하청노동자는 기계에 끼어 죽어가던 동료, 기계 소음과 그 곳에 묻은 피를 보고싶지 않다”며 “시신 위에 쌓인 발전소는 더 이상 있어서는 안 된다. 사람 목숨을 살리는 협의체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협의체 설치의 근거가 되는 국무총리 훈령은 빠르면 이달 안에 공포될 예정이다. 이번 협의체는 발전비정규직 고 김충현씨 사망 이후 결성된 ‘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 요구에 정부가 응한 것이다. 사고 진상을 규명하고 발전산업 위험의 외주화와 산업전환기 정의로운 전환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꾸려진 민관 공동기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