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의령나들목 경사면 보강공사 현장 노동자 끼임사고를 포함해 올해에만 포스코그룹에서 4번의 사망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장인화 포스코홀딩스 대표이사가 “3개월 내 위험요인을 원천 차단하겠다”고 약속했다. 당정이 책임자들을 불러 모아 강하게 질책한 결과다.
포스코그룹 전체 차원 안전TF 운영
‘중소·하청’ 기업 지원으로 사회적 책임
더불어민주당 산재예방TF(단장 김주영 의원, 간사 박해철 의원)와 김영훈 장관을 포함한 고용노동부 관계자들은 31일 오후 인천 송도 포스코이앤씨 본사를 방문해 포스코그룹 관계자들과 면담했다. 이 자리에서 장 대표이사는 “유가족께 깊은 사과와 위로를 드린다”며 “작업현장의 안전문제로 큰 걱정을 끼쳐드린 점을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면담에는 장 회장을 비롯해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사장,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사장 등 포스코그룹 8개사의 책임자들이 자리했다.
포스코그룹은 깔림·끼임·추락 등 이른바 ‘후진국형 사고’가 다발적으로 발생했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28일에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경남 함양~창녕 간 고속도로 의령나들목 공사 현장에서 사면 보강작업을 하던 원청 노동자가 천공기에 끼여 숨졌다.
이날 당정과의 면담에서 장 대표이사는 “그룹 전체 차원의 안전특별진단TF 운영을 통해 향후 3개월 내 작업 개선을 점검해 위험요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안전 시스템과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며 “안전예산을 비용이 아닌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관점에서 한도 없이 최우선 집행하고, 위험이 외주화되지 않도록 포스코가 하도급 구조를 긍정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당정과의 면담에서 포스코그룹은 안전과 평가·포상을 연계하는 안전관리체계 구축도 약속했다. 유사한 환경을 가진 중소·하청 기업을 지원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 모델을 만들겠다고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산재예방TF “후진국형 사고 원인 점검”
노동부 장관 “중대재해 문제는 국격 문제”
당정은 포스코그룹에 책임 있는 후속 조치를 촉구하는 동시에, 산재예방TF를 중심으로 제도 보완점을 발굴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날 오전 TF 위원들은 경남 의령나들목 경사면 보강공사 현장을 찾아 작업 정황 등을 확인하기도 했다.
면담에서 안호영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은 “오늘 오전 사고현장에서 느낀 것은 ‘이것이 단순한 실수라거나 사고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었다”며 “안전줄이 천공기에 감겨 노동자가 사망했는데 덮개가 있었다면, 회전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사고였다”고 비판했다. 김주영 TF 단장도 “후진국적 사고들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TF 차원에서 원인을 점검해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가족의 품으로 귀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하도급 구조 개선 방안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홍배 TF 위원은 “면담에서 포스코그룹이 하도급 구조를 개선한다고 했는데 어떻게 개선할지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며 “올해 남은 5개월 안에 또 다른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고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도 “중대재해의 문제는 국격의 문제고 이재명 정부에서는 경제 성장률만큼 산재 사망 감소율을 나라의 중요한 가치 척도로 보고 있다”며 “정말 과거하고는 다른 모습을 국민들에게 보여주실 것을 간곡히 호소드린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