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금융공공기관의 기관장 인선이 예정된 가운데 금융노동자들이 이재명 정부에서는 금융공공기관장으로 정치권 인맥과 캠프 출신을 기용하는 관행을 근절할 것을 요구했다.
금융노조(위원장 김형선)는 10일 성명을 내고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반복되는 낙하산 논란은 반복돼서는 안 된다”며 “금융공공기관은 정권의 전리품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조직이다”고 했다.
노조는 “금융공공기관 운영의 핵심은 전문성과 책임성에 기반한 인사 검증”이라며 “강석훈 전 산업은행 회장의 부산 이전 추진은 정치적 이해만 앞세운 대표적 낙하산 사례로, 이러한 정치 논리에 의한 인사는 조직 내 갈등을 키우고 국민 신뢰를 무너뜨린다”고 했다. 강석훈 전 회장은 윤석열 정부에서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무리하게 추진하면서 노조 산업은행지부와 퇴임까지 갈등을 빚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했던 ‘대통령·기관장 임기 일치제’도 요구했다. 노조는 “기관장 임기와 대통령 임기가 일치하지 않는 구조는 정권 말 낙하산을 심는 통로가 되고 있다”며 “지난해 윤석열 탄핵소추안 통과 이후에도 53개 공공기관에 인사가 강행된 사실은 명백한 정치 악용이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국정기획위원회도 공공기관 인사 투명성 강화를 밝혔듯, 이제는 무능한 인맥 인사가 아니라 책임감과 역량을 갖춘 전문가가 금융공공기관을 이끌어야 한다”며 “금융노조는 결코 낙하산 인사를 방관하지 않을 것이다”고 했다.
지난달 국정기획위는 ‘대한민국 진짜 성장을 위한 전략’ 보고서에서 “공공부문의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기 위해 낙하산 인사 및 지대추구 행태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임원 선임시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인사위원회를 제도화해 공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김형선 위원장은 2020년 노조 기업은행지부 위원장 시절 윤종원 전 행장의 임명에 반대하며 27일간 본점 출근 저지 투쟁을 벌여 이인영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은성수 전 금융위원장에게 사과받고, 청와대와 협상을 통해 노조 추천 이사제 도입 합의를 이끌어 낸 경험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