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위원장 최희선)가 병원·의료기관별 적정인력을 고려한 정원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2일 오후 서울 중구 세종대로에서 ‘2025 산별총파업 투쟁승리 결의대회’를 열었다. 주최측 추산 5천여명 조합원이 참석했다.
노조는 지난 5월부터 7차례에 걸쳐 지역 의료원·공공병원 사용자와 산별중앙교섭을 진행했지만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해 잠정 중단했다. 적정인력 정원 마련과 상시·지속·생명·안전 업무는 정규직으로 채용하라는 고용 요구안에 대해 노사 간 이견이 크다. 다만 지역 의료원과 민간중소병원 노사가 특성별 교섭을 진행 중이고, 지부별 현장 교섭도 이어지고 있다. 노조는 8일까지 특성별·현장 교섭이 타결하지 못하면 노동위원회에 일괄적으로 쟁의조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병원 노동자들은 인력 기준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작업치료사인 이은서 노조 호남권역재활병원지부 교육부장은 “오랜 시간 동안 ‘현장을 유지하기 위해 적정한 인력기준이 필요하다’고 요구해 왔지만 아직도 현장은 그대로”라며 “병원 관계자가 ‘너희는 컨베이어 벨트 부품과 같은 존재, 벨트가 계속 돌며 최대한 수익을 벌어야 한다’는 말을 면전에서 듣고 비참했다”고 말했다.
정부에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터져나왔다. 노조는 9·2 노정합의 이행협의체를 복원하고, 직종별 인력기준 법제화 논의를 시작하자고 촉구했다. 2021년 노조와 보건복지부는 공공의료 강화,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보건의료인력 충원에 합의하고 이행을 점검해 왔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중단됐다. 최희선 위원장은 “9·2 노정합의 복원은 모든 것을 갈아넣고 있는 보건의료노동자의 정당하고 절박한 요구”라며 “우리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이달 24일 산별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