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종수 자동차노련 위원장이 지난 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연맹 회의실에서 전국 대표자회의 결과를 발표한 뒤 구호를 외치고 있다. <임세웅 기자>

28일 예정된 전국 버스노조 파업에 5만3천여명이 참가하고 2만6천대의 버스가 멈출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노련은 13일 보도자료를 내고 “연맹 회원조합들이 지난 12일부터 각 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하기 시작했다”며 “당초 결의에서는 전국 조직의 동시 조정신청, 이후 파업 찬반투표 등 합법적 쟁의행위 돌입을 결정했지만 현장 상황 등을 고려해 일부 지역노조는 제외된 가운데 동시 조정신청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연맹은 “통상 파업 찬반투표의 경우 90% 이상의 높은 찬성률을 보여 온 만큼 통과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투표는 이르면 23일부터 시작해 27일까지 지역 실정에 맞게 진행될 전망이다. 노사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 28일 첫차부터 파업에 들어간다.

이번 조정신청에는 이미 쟁의조정 절차를 마친 서울을 제외한 부산·인천·광주·울산·충북·경남·경기·제주 지역 버스노조들이 참여했다. 이들 노조가 파업하면 버스 2만6천216대가 멈춘다. 파업에 참가하는 노동자는 5만3천200여명이다.

버스노동자들은 통상임금을 두고 사쪽과 갈등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재직자 조건부 정기상여금 역시 통상임금으로 판결했다. 이에 따라 버스노동자들이 받던 조건부 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 산입범위에 포함됐다. 초과근로수당으로 임금을 유지하는 버스노동자들은 임금 수준이 높아지게 됐다. 사용자쪽은 기존 임금체계는 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짜여졌다며 정기상여금 범위를 최화하는 임금체계 개편을 요구하고 있다.

키워드

#통상임금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