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배와 북핵에 비유되며 윤석열 정부 내내 탄압 대상이 된 화물노동자와 건설노동자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행진을 진행한다.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건설노조는 4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계엄·노조 탄압 주범 윤석열을 파면하고 특수고용 노동자 노조활동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화물차 운전자, 건설기계 운전자 등 특수고용노동자가 가입한 두 노조는 윤석열 정부와 갈등을 빚어 왔다. 윤 대통령은 안전운임제 확대와 연장을 요구하며 파업한 화물노동자의 쟁의행위를 ‘북핵 위협’이라고 표현하고, 건설노조를 ‘건폭(건설폭력배)’에 빗대는 등 노조 때리기를 서슴지 않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들 고용형태가 특수고용직임을 빌미로 두 노조가 사업자단체라며 단체행동이나 쟁의행위에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를 씌웠다. 계속된 탄압에 안전운임제는 일몰됐고 건설현장 불법 관행은 되살아나 노조 활동이 쪼그라들고 노동조건은 후퇴했다는 지적이다.
노동자들은 행진을 통해 윤 정부 이후 후퇴한 노동조건을 시민들에게 알리겠다고 강조했다. 화물연대본부와 건설노조는 7일 2개조로 나눠 목포신항과 부산신항에서 출발해 이날 저녁 세종시에 모여 국토교통부·공정거래위원회 규탄 결의대회를 연다. 8일에는 국회 앞에 집결해 특수고용 노동자를 위한 입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다.
변종배 화물연대본부 수석부위원장은 “화물노동자는 여전히 업무개시명령 위협과 극한의 노동착취라는 노동 내란 속에 살고 있다. 윤석열 계엄이 화물노동자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에서 시작됐듯 내란 청산도 1호 피해자인 화물연대가 시작해야 마땅하다”며 “행진을 통해 안전한 노동을 향한 화물·건설노동자의 염원을 전국에 알리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