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전체회의. <정기훈 기자>

국회 내란 국정조사특위(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21·25일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될 추가 청문회에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을 재차 증인으로 채택했다.

내란 국정조사특위는 13일 오전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진행하고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 여 전 방첩사령관을 포함한 136명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당초 활동기간은 이날까지였으나, 12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연장안이 통과되며 28일까지 활동을 계속하기로 했다. 내란 국조특위 야당 간사인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당시 본회의에서 “내란 중요 임무에 종사했던 핵심 증인들이 다수 불출석하는 등 국정조사의 원활한 조사를 방해해, 추가 조사를 통해 보다 충실한 진상 규명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내란 국정조사특위는 21일 국방부와 군 관계자들, 25일 대통령실과 행정부 관련 인사들을 중심으로 각각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정치 브로커’인 명태균씨도 증인 명단에 들어갔다.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 여 전 사령관 등이 그간의 청문회에 불출석해왔기 때문에 이들이 추가 청문회에 참석할지는 불투명하다. 여당은 야당이 일방적으로 증인을 채택했다며 표결에 참여하지 않고 퇴장했다.

여당은 이날 전체회의에서 김현태 육군 707특수임무단장이 민주당의 회유로 윤 대통령에게 불리한 주장을 했다며 증인으로 채택하자고 주장했지만 거부당했다. 김 단장은 지난해 12월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전 장관이 특전사 지휘부에 최소한 100여 통의 전화를 하며 지시를 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 과정에서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 내용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성일종 국민의힘이 12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김 단장을 불러 면담을 했는데, ‘민주당 의원들한테 완전히 이용당했다’고 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여당의 주장에 한병도 민주당 의원은 “김 단장의 말이 계속 바뀌는데, 김 단장을 증인으로 채택하고 (김 단장의 말을) 확대 재생산시켜 내란 혐의 본질을 흩트리는 여당의 의도가 보이기 때문에 증인으로 채택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맞섰다.

키워드

#내란 #탄핵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