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기준 우리나라 중견기업이 고용·매출 등 외형적 성장을 보였지만 영업이익·설비투자가 줄어 질적 성장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2023년 중견기업 기본통계를 발표했다. 정부는 2015년부터 매년 중견기업 수와 매출액, 종사자수 등의 현황과 1천800개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투자·연구개발 등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해 오고 있다.

2023년 말 기준 우리나라 중견기업은 총 5천868개사로 전년보다 292개사(5.2%) 증가했다. 대기업으로 성장하거나 중소기업으로 돌아간 기업 또 휴업·폐업한 중견기업 744개가 제외됐고, 중소기업에서 벗어나거나 새로 설립된 기업 1천36개가 중견기업으로 진입한 결과다.

매출과 종사자수도 늘었다. 중견기업 근로자수는 170만4천명으로 전년대비 11만7천명(7.4%) 증가했다. 매출은 984조3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22조9천억원(2.4%)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분야별로는 제조업 중 자동차(15.7%)·식음료(7.7%) 분야가 매출 증가세가 높았고, 비제조업에서는 법률·회계·연구·컨설팅 등(13.4%), 정보통신(9.3%) 분야를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2023년 중견기업 자산 규모는 1천227조3천억원으로 전년대비 130조6천억원(11.9%)이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47조5천억원으로 10조5천억원(18.1%) 감소했다.

투자 역시 줄었다. 총 투자금액은 31조1천억원으로 전년대비 7조8천억원(20.15) 감소했다. 연구개발 투자는 2.1% 증가했지만 설비투자가 27.1% 줄어 전체 투자금액은 줄었다.

산자부 관계자는 “중견기업이 어려운 대내외 여건에서도 기업 수·고용·매출·자산 등 지표에서 성장세를 이어 가고 있으나 질적인 성장은 다소 미흡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금융·세제·수출·인력·연구개발 등 중견기업 맞춤형 지원 확대, 기업 성장을 가로막는 애로 및 규제 발굴·개선 등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담은 중견기업 성장촉진 기본계획을 올해 상반기에 수립해 기업의 실질적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