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교조

학부모와 교사가 내년 도입 예정인 디지털 교과서 추진 중단을 교육부에 촉구했다.

전교조(위원장 전희영)는 1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교육 파탄 내는 윤석열의 교육정책을 거부한다”며 “검증되지 않은 혈세 낭비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즉각 중단하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내년 3월부터 초·중·고교 수학·영어·정보 등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하고 2028년까지 모든 교과에 확대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기기를 이용해 학생의 데이터에 기반한 맞춤형 자료를 제공한다는 취지다.

하지만 학교현장에서는 반대 여론이 높다. 지난 6월에도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반대하는 국회 국민동의청원에 5만6천505명이 동의했다. 전교조는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되면 향후 4년 동안 추가 예산 4조7천255억원이 필요해 시·도교육청의 재정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했다. 디지털 기기에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개인정보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 학생 간 디지털 활용 능력의 격차가 나타나는 문제도 우려하고 있다. 무엇보다 검증되지 않은 디지털 교과서를 지나치게 졸속 도입한다는 비판이다. 노조는 이날 교사 1만3천434명이 디지털 교과서 거부 선언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전희영 위원장은 “교육부의 검정심사를 통과한 AI 디지털 교과서를 본 교사들은 이를 교육이라 부를 수 없고, 교과서라 부를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저렴한 사교육업체 프로그램보다 못하다는 평가가 대다수”라며 “사교육 업체 배만 불리는 정책을 추진하는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학부모 역시 디지털 교과서 거부에 나섰다.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8일까지 전국 초·중·고교 및 유아·대학생 학부모 1만2천720명이 디지털 교과서를 반대하는 서명에 참여했다.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는 “수많은 교육 전문가들이 검증되지 않은 정책에 학생들이 실험대상이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며 “교육 주체들의 공론화 과정을 거쳐 신중히 시작해도 늦지 않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