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병원 노사의 올해 임금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병원측이 기본급 인상률을 의료수가 인상률에 연동하자는 취지의 제시안을 내놓으면서 노조가 반발하고 있다.
10일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설명을 종합하면 울산대병원 노사는 지난 9월부터 이달 3일까지 본교섭을 9차례 진행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노사가 가장 크게 부딪치는 쟁점은 ‘5년간 의료수가에 임금인상을 연동’하는지 여부다. 사측은 지난달 12일 5년간 ‘의료수가 인상률’을 ‘총액 기준 인상’에 적용하자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제시안을 내놓았다. 노조는 △기본급 10만9천548원 인상 △격려금 50% 인상 △감정노동 수당 신설 △특별휴가 3일 △장기근로자 처우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다.
울산대병원 노동자들은 ‘의료수가 인상률 연동’은 사실상 기본급 인상을 억제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본부 관계자는 “지난 10년간 평균 의료수가 인상률이 1.7% 정도였는데, 수가 인상은 의료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앞으로도 인상 폭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결국 기본급 인상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인데다 타 병원에서도 전례가 없는 제안”이라고 주장했다. 5년으로 시기를 못 박은 것 또한 사실상 교섭을 무력화하는 것이라는 비판이다.
의료연대본부와 울산대병원분회는 이날 오전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매년 물가인상률과 경제성장률을 반영해야할 임금교섭을 무력화하고, 전 직원의 임금 인상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는 안”이라며 연동안 철회를 촉구했다.
노사 이견이 큰 상황이어서 협상이 해를 넘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분회는 지난 4일 울산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다. 울산지노위에서 조정중지 결론이 나오면 분회는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해 쟁의권 확보 수순을 밟을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