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을지대병원 노동자들이 비정규직 정규직화와 임금인상 등을 촉구하며 전면파업에 나선 지 50일이 가까워지고 있지만 임금·단체협상은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27일 보건의료노조 서울본부와 노원을지대병원지부(지부장 차봉은) 설명을 종합하면 노원을지대병원 노사는 지난 20~22일 집중교섭을 진행했지만 사측이 기존에 제시했던 임금총액 2.5% 인상안을 고수하고 지부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교섭은 파행됐다. 지부가 요구한 △야간근무 누적에 따른 유급 수면휴가 △임신기간 노동시간 단축 적치 활용 △노조 게시판 사용에 대해서도 사측은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노원을지대병원지부는 지난달 10일부터 전면파업을 시작했다. 이날로 49일째다. 2017년 48일간 파업 끝에 협상 타결에 이르렀던 때보다 노사갈등이 장기화하는 양상이다. 지부는 2017년에도 임금인상과 처우개선을 요구했고, 올해 임단협 과정에서 당시 합의사항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며 협상을 이어 오다 △비정규직 정규직화 △타 사립대병원과 임금격차 해소 등을 촉구하며 파업까지 하게 됐다. 2017년 노사합의서에는 “동급 사립대병원과의 임금격차를 2022년까지 해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내용과 “2020년까지 전체 정규직 비율을 90% 이상으로 상향, 유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본지 2024년 11월11일자 4면 “노원을지대병원 노동자들이 한 달 넘게 파업하는 까닭” 참조>
이날 오전 민주노총 서울지역본부와 너머서울 등 서울지역 179개 노동·시민단체는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병원측이 열악한 노동환경을 방치하고, 의료 인프라 투자에 인색해 환자의 안전과 건강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특히 병원장은 아무런 결정권도 없고 진짜 사용자인 을지재단 회장은 사태 해결의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병원과 재단측이 장기파업 사태를 방치한다면 노사 문제가 사회 문제로 비화되고 병원에 신뢰 하락을 가져올 것”이라며 조속한 사태 해결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