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청년들의 고용·노동 관련 고민을 듣는 온라인소통 플랫폼 ‘노말(노동을 말하는) 청년’을 개설한 지 1년이 지났는데 제대로 된 정책제안은 1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이 경사노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출시한 노말청년 회원수는 479명으로 집계됐다. 구글의 앱마켓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로드된 횟수는 100회 미만이었다.
노말청년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경사노위 위원장이던 때 개발비용 3천900만원을 투입해 제작했다. 세부 기능은 △정책제안 △정책설문 △정책투표 등으로 구분된다. 당시 경사노위는 보도자료를 내고 “향후 노말청년의 성과를 토대로 여성‧비정규직 등 취약계층, 미조직 근로자 등으로 범위를 확장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말청년이 출시된 지 1년이 지난 현재 대부분의 기능은 방치돼 있다. 경사노위 관계자가 올린 글을 제외하면 정책투표는 지난해 10월에 단 1건, 정책설문도 지난해 10월까지 2건에 그쳤다. 자유토론을 위해 만들었다는 자유게시판에는 올라온 글이 ‘0건’이다. 정책제안의 경우 지난해 10월 마지막으로 올라왔는데, 이마저도 플랫폼 개설 당시 약 한 달간 진행한 치킨 이벤트 덕분이었다. 이벤트와 무관하게 작성된 정책제안은 1건에 불과했다. 권기섭 경사노위 위원장이 취임한 지 두 달이 지났지만 여전히 김문수 장관이 위원장으로 소개돼 있다.
김위상 의원은 “경사노위는 노말청년의 성과를 토대로 여성·비정규직 등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런 식으로 운영할 것이라면 확장이 아니라 정리가 맞다”며 “보여주기식 전시행정으로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사노위는 이날 설명자료를 내고 “노말청년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했으나 청년위원회 발족이 늦어지고, 2024년 예산에도 디지털 홍보예산이 편성되지 않아 인지도 제고와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며 “정책제안은 총 74건”이라고 밝혔다. 또한 활성화를 위해 “청년위원회와 세대공감자문단 활동과 연계하고 신규예산 확보를 통한 인지도 제고를 위한 노력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