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전공의 집단사직 이후 병원 2곳 중 1곳은 응급실 가동률이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4~9일 국립대병원·사립대병원·지방의료원 등 65개 의료기관 대상으로 응급실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50.7%(33곳)는 지난 2월 전공의 집단사직 전보다 응급실(응급의료센터) 가동률이 떨어졌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가동률이 ‘51~80%’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답한 곳이 30.7%(20곳)로 가장 많았다. ‘50% 이하’로 떨어졌다고 답한 경우가 15.3%(10곳)로 뒤를 이었다. ‘81% 이상’ 가동되고 있는 경우는 4.6%(3곳)이었다.

의사 부족이나 사직 등으로 인한 응급실 의료공백도 심각했다. 64.6%(42곳)가 의료공백이 발생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응급실 비상진료체계가 ‘겨우겨우 버티고 있지만 불안하다’고 답한 곳도 55.3%(36곳)에 달했다.

응급실 운영시간은 대부분 24시간 운영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의료기관 93.8%(61곳)가 ‘축소 운영하지 않고 24시간 운영한다’고 답했다. ‘16시간 이상~24시간 미만 운영한다’와 ‘8시간 이상~16시간 미만 운영한다’고 답한 경우가 각각 3%(2곳)였다.

노조는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수는 줄었지만 응급실을 지키고 있는 전문의들과 늘어난 PA간호사 및 진료지원 인력들이 응급실 의료공백을 메우고 있는 것”이라며 “응급실을 박차고 나간 전공의들이 더 이상 응급실 파행을 방치하지 말고 국민 생명을 살리기 위해 조속히 응급환자 치료현장으로 돌아오라”고 촉구했다.

정치권의 여·야·의·정 협의체에 불참하는 의사단체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노조는 “의사단체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계획조차도 백지화하라고 요구하면서 대화를 거부하고 있지만 수시 접수가 시작된 마당에 의대 증원 백지화는 엄청난 사회적 혼란과 수험생 피해를 초래할 뿐”이라며 “협의 제안조차 거부하는 것은 억지를 부려서라도 무조건 정부를 이기겠다는 정치 논리 말고는 없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