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의대 증원을 밀어붙이던 정부와 여당이 한발 물러서는 모양새다. 의료개혁을 원점에서 논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힘과 동시에 의료공백 해소를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 로비에서 현안 브리핑을 열어 “의료공백 상황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지역 필수의료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를 구성·운영하자는 제안을 드린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여·야·의·정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의료현장의 진료서비스를 정상화하면서 의료개혁이 국민에 도움이 되도록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협의하고, 의대정원 증원의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는 협의체를 구성해서 운영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 과정에서 국민들과 의료현장의 의견도 충분히 들어야 한다”며 “앞으로 여·야·의·정 협의체가 국민들 불안을 해소하면서 대한민국 지역 필수 의료체계 개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한 대표는 ‘대통령실과 조율된 부분이냐’는 질문에 “대통령실에서도 공감하는 사안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앞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4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의료대란 해결을 위한 여야와 정부가 함께하는 비상협의체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이와 관련해 “저희가 하자는 것과 크게 다른 이야기가 아닌 것 같다”며 “야당에서 (협의체 구성을) 반대하진 않을 것 같다. 논의해서 좋은 답을 찾아가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지금이라도 2026학년도 의대 증원 문제를 포함해 의료개혁 문제에 대해 얼마든지 열린 마음으로 원점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와 당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