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원식 국회의장이 25일 서울 마포구 경총회관에서 경총과 간담회를 가졌다. <국회의장실>

우원식 국회의장이 국회를 사회적 대화의 플랫폼으로 만드는 데 참여해 달라고 한국경총에 제안했다. 경총은 “당면한 과제 해결을 위해 우리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고 화답하며 국회에 입법 제안서를 전달했다.

우 의장은 25일 오전 서울 마포구 경총회관을 방문해 손경식 회장을 포함한 경총 회장단과 간담회를 했다. 우 의장은 “국회의장 당선연설에서 제안했듯, 국회가 사회경제적 대화의 플랫폼으로 거듭나 노동·환경·산업전환 등 다양한 논의를 이어 나가는 것이 새로운 대화의 미래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국회에서 논란인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2·3조 개정안과 택배 사회적 합의를 예로 들며 사회적 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우원식 의장은 “노조법 개정안은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을 역설적으로 상징하는 사례로, 진작 이를 사회적 대화로 풀어 냈으면 노사 대립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택배과로사방지를 위한 사회적 합의를 두고는 “노·사·민·정·국회 합의로 산업계에는 물류시스템 개선, 노동계에는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한 권리가 보장됐다”고 설명했다.

손경식 회장은 “당면 과제 해결을 우리 모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며 “기업과 노동을 대표하는 기관과 소통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첫 발걸음으로 경총을 선택해 주셔서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손 회장은 이어 “우리 사회가 당면한 여러 위기 극복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라며 “노조법 2·3조 개정안이 통과하면 기업과 전체 근로자, 우리 국민 모두에 큰 피해인 만큼 경영계가 갖고 있는 반대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이외에도 경총은 연장근로 정산단위 확대와 같은 유연화 정책,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상속세 감면과 세제지원 등의 내용이 담긴 ‘22대 국회에 드리는 입법 제안’을 전달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