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국회의장이 22대 국회에서 개헌을 추진하자며 여야에 헌법개정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우 국장은 17일 오전 국회 본청에서 열린 76주년 제헌절 행사 경축사에서 “향후 2년 동안은 큰 선거가 없다. 충분히 논의할 수 있는 시간이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개헌을 안 하겠다는 작정이 아니라면 본격 대선국면으로 들어가기 전에 마무리하는 것이 맞다”며 “2026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를 목표로 개헌을 추진하고, 이를 위해 헌법개정특위를 구성하자”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른 시일 안에 국회의장 직속 개헌자문위원회도 발족시켜 개헌특위가 논의를 본격화할 준비를 시작하겠다”고 덧붙였다.
우원식 의장은 “개헌 폭과 적용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며 “다 열어 놓고 유연하게, 할 수 있는 만큼, 합의하는 만큼 하자”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이어 “어떤 경우에라도 다음 지방선거까지는 개헌법안을 통과시키는 대신 개헌의 폭과 새 헌법을 적용할 시기는 열어 두자는 것”이라고 자신의 구상을 설명했다.
윤석열 대통령에도 ‘개헌 대화’를 제안했다. 우 의장은 “대통령과 입법부 대표가 직접 만나 폭넓게 의견을 교환한다면 개헌 실현 가능성이 훨씬 커질 것”이라며 “진취적이고 생산적인 대화의 시간이 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회를 사회적 대타협 플랫폼으로 만들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우원식 의장은 “저는 국회를 사회적 대화 플랫폼으로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고, 그 일환으로 다음주부터 기업과 노동을 대표하는 기관을 찾아간다”며 “대화가 출발이지만 여기에 그쳐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노사뿐 아니라 세대와 젠더, 지역갈등까지 한꺼번에 놓고 풀 수 있는 해법을 꼭 찾아야 한다”며 “무엇을 양보하고 무엇을 얻어야 하는지 토론하고, 사회 각계가 다 이해당사자가 되는 대타협을 추진하는 데까지 발전시켜 보자는 게 국회의장 포부”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회는 이를 뒷받침할 역량이 있다”며 “이해와 갈등을 조정·중재하는 국회 책무를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거대 여야의 갈등으로 개원식을 하지 못한 현 상황을 언급하기도 했다. 우 의장은 “제헌절을 맞도록 국회 개원식도 열지 못하고 있다”며 “국민의 질책을 달게 받겠다”고 했다. 그는 “국민을 지키는 국회, 미래로 나아가는 국회를 만들기 위해 새로워지겠다”고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