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예고한 대로 27일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가운데, 정부는 집단행동이 아닌 대화를 통해 문제 해결에 나서 달라는 입장을 밝혔다.
김국일 중앙사고수습본부 총괄반장(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세브란스병원 휴진에 대해 “수도권 주요 병원에서 또다시 집단휴진이 강행된다는 사실이 매우 안타깝다”며 “집단휴진 방침에도 대부분의 교수들이 끝까지 환자 곁을 지켜 주실 것이라 믿는다”고 밝혔다. 이어 “집단휴진보다 대화를 통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의료계과 대화 노력에 더욱 최선을 다하겠다”며 “의료계가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의정 협의에 참여할 의사를 밝힌 만큼 집단행동보다는 대화의 자리에서 기탄없이 논의해 나갈 것을 요청 드린다”고 밝혔다.
세브란스병원·강남세브란스병원·용인세브란스병원이 소속된 연세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정부의 전향적 태도 변화를 요구하며 이날부터 응급실과 중환자실, 투석·분만 등 필수 분야를 제외한 일반 환자의 외래 진료 및 비응급 수술·시술 등을 무기한 중단하기로 했다. 휴진 여부를 교수 개인의 선택과 결정에 맡기면서 이날 진료 차질 등 현장의 혼란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빅5’ 병원 중 하나인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다음달 4일 휴진을 예고한 상태다. 다만 ‘빅5’ 중 처음 휴진에 들어갔던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무기한 휴진 시행 닷새 만인 21일 휴진을 중단했다. 삼성서울병원 등이 소속된 성균관대 의대 교수들과 서울성모병원 등이 소속된 가톨릭대 의대 교수들도 무기한 휴진을 유예하기로 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이날 김성주 회장 명의 성명에서 “연세대 의대 교수 비대위는 무기한 전면 휴진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김 회장은 “자신들의 의견을 관철하기 위해 환자들의 생명을 볼모로 잡는 의사 행태에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