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이 곧 멈춘다. 타워크레인 조종사 노동자와 설치·해체 노동자들이 다단계 하도급 구조 개선과 적정 노동시간·임금 등 노동환경 개선 대책을 정부와 건설사, 타워크레인 설·해체 업체와 임대업체에 요구하며 공동행동을 준비하고 있다.
먼저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노동자들이 무기한 파업에 들어간다.
18일 전국타워크레인설·해체노조(위원장 정회운)에 따르면 노조는 전날부터 이날까지 진행하는 쟁의행위 찬반투표가 가결하면 24일부터 전면파업을 시작한다. 이날 오후 6시 현재 투표율이 95%를 넘어가며 조합원 참여가 높은 상황이어서 가결은 확실시된다.
노조는 사용자격인 타워크레인 설·해체 팀장협회 등 102개 업체와 올해 임금·단체교섭을 진행했다. 지난달 29일 중앙노동위 조정회의에서도 임금인상, 현재 하루인 작업 기간 1일 연장 등의 노조 요구안에 대해 접점을 찾지 못해 대화가 결렬했다.
올해 4월 기준으로 대형·소형타워 크레인 설치해체업을 등록한 업체는 125곳이다. 노동자 500명가량이 일한다. 노조는 정식 계약을 맺지 않고 일하는 설치해체 노동자를 포함하면 모두 600명 정도가 이 분야에서 일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노조 조합원은 450명이다.
이들이 파업하면 건설현장은 마비된다. 타워크레인을 설치하지 못하고, 이미 설치한 타워크레인을 해체하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노동자 500~600명에 전국의 건설현장 가동 여부가 맡겨진 셈이다. 건설현장에서 핵심적인 일을 하지만 이들의 노동환경은 열악하다. 설치·해체 작업을 단 하루 만에 끝내야 하고, 일거리가 있는 곳을 찾아 전국의 공사현장을 돌아다닌다. 노동강도는 높고, 노동시간도 길고, 쉬지는 못한다. 지난 10년간 산재 현황을 살펴봤더니 노동자 8.6명당 1명이 사망사고를 당했을 정도로 위험한 환경에서 일한다.
사용자 모임인 타워크레인협동조합과 교섭을 하고 있는 한국타워크레인조종사노조의 분위기도 심상치 않다. 조종사노조는 올해 교섭에서 불법파견 문제를 의제화하고 있다. 건설기계임대사에 속해 일하는 지금의 고용구조를 다단계 불법하도급이라 보고 건설사 직접고용을 주장하고 있다. 노동조건 개선의 걸림돌이 불법파견 고용구조 때문이라는 점을 올해 교섭·투쟁으로 확인하겠다는 얘기다. 설·해체노조, 조종사노조는 연대투쟁도 준비하고 있다. 우선 조종사노조는 설·해체노조 파업시 대체인력이 투입되지 않도록 현장을 감시한다. 조종사노조는 21일 2차 임금교섭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