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요구한 의대 정원 재논의와 전공의에 대한 행정명령 취소를 정부가 거절했다. 의협은 18일부터 전국에서 전면 휴진에 들어가기로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헌법과 법률에 따른 조치를 시간을 거슬러 아예 없었던 일로 만들라는 말은, 몇 번을 고심해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헌법과 법률은 의사와 정부를 포함해 모두가 지켜야지, 지키다 말다 해도 되는 것이 아니다”며 “몸이 아픈 분들이 눈물로 호소하는데도 의료계가 집단휴진 결정을 바꾸지 않는 데에 깊은 유감”이라고 강조했다.

의협은 18일 집단 휴진을 예고했다. 의협은 지난 16일 의대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수정·보완, 전공의와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즉각 소급취소를 요구하며, 받아들여진다면 휴진 보류를 투표로 결정하겠다고 했다. 정부가 거절하자 의협은 예정대로 18일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전국 의사 총궐기대회를 열겠다고 밝혔다.

의료계 집단행동은 17일부터 본격 시작할 전망이다. 이날 서울대병원 교수가 무기한 휴진을 예고한 상황이다. 서울대 의대 아래 4개 병원인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 강남센터가 진료와 수술을 중단한다.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휴진 참여 교수는 529명으로, 진료참여 교수의 54.7%다. 다만 중증·희귀질환 환자, 응급실과 중환자실, 신장투석실, 분만 진료는 유지한다.

의협은 ‘의료대란’을 예고했다. 의협에 따르면 지난 4~7일 의사 회원 11만1천861명을 대상으로 집단행동 찬반투표를 벌인 결과 7만800명이 참여한 가운데 90.6%(6만4천139명)가 찬성했다. 73.5%(5만2천15명)가 휴진을 포함한 집단행동에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의협은 “압도적 지지를 확인했다”고 했다.

다만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실질적인 파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보건복지부 집계에 따르면 전국 의료기관 3만6천여곳 중 18일 휴진을 사전신고한 의료기관은 1천463곳으로 4.02%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