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 가까이는 전공의와 의대 교수들이 의대 증원에 반대해 벌이는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답한 조사 결과가 나왔다.
보건의료노조가 지난달 28~29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RDD 방식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전공의와 의대 교수들이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진행한 진료 거부, 집단 사직, 휴진 등의 집단행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응답자 85.6%가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답했다. “의사들의 집단행동을 존중하고 지지한다”는 답은 12%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는 답은 2.4%였다.
의료계가 의대 정원 2천명 증원·배분 결정 효력을 멈춰 달라며 정부를 상대로 낸 집행정지 신청 항고심에서 법원이 지난달 16일 각하·기각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 70.4%가 판결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법원 판결에도 의대 증원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사단체 입장에 대해서는 ‘반대’가 65.3%로 ‘찬성’ 29.1%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10명 중 8명 이상은 정부가 수련병원과 공공병원을 지원해야 한다고 답했다. ‘의사 집단행동으로 발생한 수련병원의 필수·중증·응급의료 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수련병원을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응답자 82.2%는 “찬성한다”고 답했다. ‘지방의료원과 적십자병원과 같은 공공병원들의 기능이 회복되고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기능이 회복되고 정상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답이 85.9%였다.
지역의사제나 공공의대 설립에 대해서도 대다수 국민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사제 도입은 85.3%가, 공공의대 설립은 81.7%가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의사단체가 의료개혁을 위한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도 압도적으로 높았다. 응답자 86.5%는 “의대 증원과 관계없이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답했고, “대화를 거부하는 의사단체 입장을 지지한다”고 답한 경우는 11.2%에 그쳤다.
노조는 “의대 증원이 확정되자 촛불집회를 열어 한국 의료 사망을 선고하고 6월부터 더 큰 싸움을 시작하겠다고 예고한 의협의 태도는 이러한 국민 여론에 정면으로 역행한다”며 “의사단체들은 더 이상 의대 증원 백지화를 내세워 의료개혁을 위한 대화를 거부하지 말고, 대화에 참여하라는 국민의 뜻에 따라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