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삼성전자노조가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가결해 첫 단체행동에 나선다. 삼성전자 노사가 임금협상에 난항을 겪는 와중에 사측이 노사협의회를 통해 일방적으로 임금인상률을 결정한 것에 대해 노조는 반발하고 있다.
전국삼성전자노조(위원장 손우목)는 8일 노조와 사무직노조·구미네트워크노조·동행노조·DX노조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전체 2만7천458명 중 2만853명(75.9%)이 투표해 2만330명(전체 조합원 대비 74%)이 찬성했다고 밝혔다.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조가 2만1천12명 중 1만8천455명(87.8%)이 투표해 1만8천143명(86.3%)이 찬성한 게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난달 14일 조정중지 결론을 내린 상태다. 합법적 쟁의권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전국삼성전자노조는 이날 사측에 쟁의발생 신고 통보를 했고, 쟁의행위 돌입을 선포했다. 당장 파업에 돌입하는 것은 아니다. 단체행동 1호 지침으로 17일 정오부터 오후 1시까지 경기 화성시 부품연구동(DSR) 타워 1층 로비에 1천명이 집결할 것을 예고했다. 앞서 노조는 지난 1일 DSR 로비에 모여 경계현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사장)과의 면담을 요구하고 노사협의회 결정 철회를 촉구했다. 당시엔 쟁의권이 없는 상태여서 지침 형태가 아닌 자발적 참여로 로비에 모였는데 노조 추산 약 300명이 모였다.
손우목 위원장은 “사측과 대화로 해결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지만 사측은 노사협의회를 통해 직원들의 임금인상률을 결정했다고 발표했다”며 “직원들의 동의 절차 없이 소수의 노사협의회 위원들이 12만명 직원의 임금을 결정하는 ‘반민주주의적 삼성공화국’을 만들어 간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측은 지난달 29일 노사협의회와 협의를 거쳐 올해 평균 임금인상률을 5.1%(기본인상률 3%, 성과인상률 2.1%)로 결정됐다고 공지했다. 노조와의 단체교섭이 아닌 노사협의회를 통해 임금인상률을 일방적으로 통보해 사실상 ‘노조 패싱’이자 ‘교섭 무력화’라는 비판이 거셌다.
사측은 지난 4일 노조에 “노조 조합원의 경우 ‘2024년 임금 조정’ 결과를 적용하지 않고 교섭 대표인 노조와 체결할 ‘2024년 임금협약’ 결과를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회사에 명시적으로 통보된 조합원에 대해서는 ‘2024년 임금 조정’ 결과를 적용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임금협약 체결 전이라도 비조합원과 동일하게 ‘2024년 임금 조정’ 결과 선적용을 원하는 경우 공문으로 회신 바란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성과급 지급 기준을 경제적 부가가치(EVA)에서 영업이익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기준이 불명확한 EVA 대신 수치가 명확히 공개되는 영업이익으로 기준을 바꿔 투명성과 예측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취지다. 손우목 위원장은 “재충전 휴가 (확대)나 성과급 제도 개선에 대해 진전된 부분이 있으면 5.1% 사측 제시안 수용 입장을 조정에서 밝혔지만 사측이 거부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