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공공운수노조 공동교섭 선포 및 대정부 교섭촉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대통령실에 요구안을 전달하러 가고 있다. <정소희 기자>
▲ 14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공공운수노조 공동교섭 선포 및 대정부 교섭촉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대통령실에 요구안을 전달하러 가고 있다. <정소희 기자>

‘공공기관 파티는 끝났다’며 공공기관 기능축소 등 ‘민영화’를 추진하는 윤석열 정부의 공공부문 정책에 맞서 40개 노조가 공동교섭·파업 채비를 마쳤다. 공공부문 노조의 단체협상은 통상 여름 이후부터 개시하는 예년과 달리, 올해는 6월이 채 끝나기 전에 교섭을 시작하는 노조가 늘고 있어 올 가을 공동파업 규모가 적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공공운수노조(위원장 현정희)는 14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노조 산하조직 중 교섭권을 가진 77개 공공기관 노조 중 이날 기준 교섭을 시작한 노조는 40개다. 노조는 “통상적인 교섭 흐름과 비교해 볼 때 상반기에 교섭을 개시한 것은 굉장히 이례적”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공공성 파괴와 노동권 탄압에 대한 공동투쟁의 흐름이 형성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공동교섭이 끝나면 쟁의권을 얻은 단위를 중심으로 올 가을 9·10월께 공동파업을 할 예정이다.

현정희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의 노동탄압은 과거 독재정권 시절에나 볼 수 있던 작태들로 열거하기 힘들 정도”라며 “국민 건강과 노후, 사회복지, 전기, 교통, 난방 등을 이윤 창출을 위해 자본에 팔아 넘기는 최악의 민영화 정부”라고 비판했다.

철도노조(위원장 최명호)도 ‘철도 쪼개기’를 통한 민영화에 반발해 15일 총력투쟁을 준비했다. 최명호 위원장은 “정부는 공공기관의 적자와 방만경영을 문제 삼으면서도 SR에는 3천600억원에 달하는 혈세를 퍼붓고 부당특혜를 주고 있다”며 “국토교통부는 지금 당장 수서행 KTX를 투입하고 고속철도를 통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이 끝나고 대통령실에 대정부 교섭 6대 요구안을 전달했다. 요구안에는 △민영화 중단 △실질임금 인상 △직무·성과급제 폐지 △인력 충원 △노동개악 중단 △공공부문 노정협의 기구 설치와 같은 내용이 담겼다.

14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공공운수노조 공동교섭 선포 및 대정부 교섭촉구 기자회견에서 대정부 교섭 요구안을 발표하는 상징의식이 열리고 있다. <정소희 기자>
▲ 14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공공운수노조 공동교섭 선포 및 대정부 교섭촉구 기자회견에서 대정부 교섭 요구안을 발표하는 상징의식이 열리고 있다. <정소희 기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