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과 항만의 물류를 멈춰 세운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 파업으로 석유화학과 시멘트·완성차 등 주요 산업의 생산중단이 가시화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4일 오전 10시 기준 부산항의 컨테이너 장치율은 79.4%로 지난달과 대비해 9.4%포인트 상승했다. 컨테이너 장치율이 80% 이상이면 ‘포화상태’고 90%가 넘어서면 더 이상 컨테이너를 쌓을 수 없어 사실상 기능이 멈춘 것으로 본다. 업계는 국토부 발표보다 실제 부산항의 적체가 더 심각해 장치율이 90%에 육박했다고 보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셧다운’ 경고가 나오자 한국무역협회 화주협의회가 기자간담회를 열고 조속한 정상화를 촉구했다. 화주협의회는 “화물연대 집단 운송 거부가 8일째를 맞으면서 전국 주요 항만과 국가 중요 생산시설들이 일주일 넘게 마비됐다”며 “화물연대가 현업으로 복귀해 수출입 화물운송을 다시 살리고, 상생의 협상을 재개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매일 포항제철소 2만여톤, 광양제철소 1만5천여톤의 제품을 출하하지 못해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고, 현대차 울산공장은 부품이 입고되지 못해 조업 차질이 지속되는 등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화주협회는 전했다. 또 울산·여수·대산산업단지의 주요 화학 기업들도 출하량이 평소의 10% 수준에 머물면서 산업 각 분야로 공급돼야 할 주요 소재들이 적기에 운송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날 정오 경기도 의왕 내륙물류기지(ICD)를 찾아 ‘강경대응’ 발언으로 파업에 기름을 끼얹었다. 원 장관은 “집단의 힘으로 운송을 거부하는 행위를 단호하게 끊어 줘야 할 때”라며 “국토부 장관이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 강경대응을 시사했다. 원 장관의 발언으로 한때 정부가 ‘업무개시 명령’ 카드를 꺼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면서 긴장감이 감돌았다. 그러나 이날 오후 8시 화물연대와 국토부가 5차 교섭을 재개하기로 하면서 타협점을 찾을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졌다. 지난 12일 열린 4차 교섭에서 화물연대는 “국토부와 안전운임제를 지속 추진하는 내용으로 최종 합의문까지 만들었는데 국민의힘 반대로 결렬됐다”고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