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일반연맹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의 노동정책에 대해 “반노동 정책”이라며 상반기 대규모 투쟁을 예고했다.
민주일반연맹은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윤석열 당선자는 선택적 근로시간제 정산기간 확대·최저임금 업종별 차등적용 등 노동시간을 유연화하는 정책을 예고한 바 있다. 임금체계도 직무·성과급체계로 개편한다는 계획이다.
민주일반연맹은 최저임금 수준의 임금을 받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직·무기계약직 노동자가 다수 가입한 만큼 직무급제 도입을 우려하고 있다.
남정수 민주일반연맹 조직실장은 “윤석열 정부가 이야기하는 직무급제는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올라가는 호봉제를 없애겠다는 것이 핵심”이라며 “현재도 무기계약직·공무직 노동자는 최저임금이 최고임금인 상황에서 임금인상 가능성이 완전히 봉쇄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남 실장은 “근속연수가 20년, 30년이 돼도 호봉이 적용되지 않아 그 피해는 저임금 노동자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가 이를 본격적으로 도입하려는 움직임에 따라 7월 초 대규모 투쟁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민주일반연맹은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불평등과 양극화로 중소·영세 사업장과 저임금 비정규 노동자들에게 집중된 문제”라며 “이를 윤석열 정부는 기업살리기와 경제성장 이데올로기라는 거짓말로 해결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연맹은 “윤 당선자의 공약집에는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한마디의 언급도 없다”며 “반노동·친자본 정책을 계속할 경우 상반기 대규모 투쟁과 하반기 파업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공무직도 나름 난이도와 경력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최소한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무자격자 , 또는 10년이상, 5년이상,2년이상, 신입, 이렇게라도 구분해서 단돈 5만원씩 이라도 차등지급했어야 한다. 그런데 지금 다 평등하다. 이런데서 또 알력이 생긴다.
처음부터 개판으로 전환 해 놓고 시간이 해결 해 주길 바란다면 이런 불만도 대물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