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칼호텔 노동자들이 2021년 11월9일 오전 서울 서소문로 대한항공빌딩 앞에서 일방적인 제주칼호텔 매각 철회를 요구하는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경영난을 이유로 4월 말 영업종료를 앞둔 제주칼호텔에서 115명의 직원이 희망퇴직을 신청하면서 대규모 실직이 현실화됐다.

제주칼호텔·서귀포칼호텔을 위탁운영하는 항공종합서비스㈜는 15일 “115명이 희망퇴직을 신청해 추가 감원 없이 제주칼호텔 영업종료에 따른 인력문제가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항공종합서비스의 원청사인 칼호텔네트워크는 경영난을 이유로 4월30일부로 제주칼호텔 영업을 종료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항공종합서비스는 지난 2일부터 8일까지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신청자에게는 월 기본급 20개월분의 위로금을 지급하고, 전직·창업을 희망하는 신청자를 대상으로 전직지원프로그램 참여비용을 지원한다. 직원 190여명 가운데 희망퇴직을 신청하지 않은 70여명은 서귀포칼호텔로 전환배치될 예정이다.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정당이 참여한 제주칼호텔매각중단을 위한 도민연대는 이날 “항공종합서비스는 기간 내 희망퇴직을 신청하지 않으면 정리해고 대상이 될 수 있다며 사실상 희망퇴직 신청을 압박했다”고 주장했다. 제주관광서비스노조 칼호텔지부에 따르면 지난 2월21일 3차 노사협의에서 지부가 희망퇴직을 신청하지 않은 직원은 정리해고 대상이 되는지 묻자 사측에서 희망퇴직으로 적정 감원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

간접고용 노동자들에 대한 고용대책은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다. 도민연대는 “90여명의 간접고용 노동자는 매각 과정에서 아무런 대책 없이 일자리를 잃게 됐다”며 “이미 30여명이 퇴사했고 60여명도 4월 말이면 일터에서 쫓겨나게 된다. 사측은 간접고용 노동자의 고용대책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주칼호텔지부는 18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향후 투쟁계획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