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에 에너지 전담 차관(2차관)이 9일 신설된다. ‘2050 탄소중립’ 을 위해 에너지 분야 시스템 혁신에 집중하기 위한 조치다.

3일 산자부는 “에너지 분야 조직개편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이 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9일 시행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에서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 설치와 함께 산자부에 에너지 전담 차관 신설계획을 밝혔다. 현재 산자부는 박진규 차관과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차관급) 시스템인데, 에너지전담차관 신설로 3차관 체제가 된다.

2차관 소속으로 2정책관(전력혁신정책관·수소경제정책관), 4과(전력계통혁신과·재생에너지보급과·수소산업과·원전지역협력과)를 신설한다. 인력은 27명이 보강된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에너지 관련 조직은 1차관 1실 2국 4관 21과 1팀 223명으로 확대된다.

전력혁신정책관은 안정적인 전력수급 방안 마련, 에너지 신산업 육성 등을 담당하고 수소경제정책관은 수소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 제도 개선 등 업무를 수행한다.

문승욱 산자부 장관은 “탄소중립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새로운 국제질서”라며 “산자부는 이번 에너지 차관 신설과 관련 조직·인력 보강을 통해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시스템 혁신을 가속화함으로써 재생에너지·수소 등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