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운수노조 이스타항공조종사노조가 22일 오전 국회 앞에서 이상직 의원 체포동의안 가결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회생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정기훈 기자>

국회에서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무소속 의원의 체포 동의안을 처리했지만 정리해고를 당한 노동자들의 천막농성은 기약 없이 길어지고 있다. 공공운수노조 이스타항공조종사지부(지부장 박이삼)는 배임과 횡령으로 인해 시작된 경영난과 매각 실패에 따른 정리해고를 철회하고 정부가 회생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부는 22일 오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여당은 체포동의안 가결로 책임을 다했다며 이스타항공 대량해고 사태를 방치하지 말아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상직 무소속 의원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정경제범죄법)상 배임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았다. 검찰에 따르면 이상직 의원은 페이퍼컴퍼니를 세워 자녀에게 이스타항공 지분을 편법 증여했다. 이 의원은 자본금 3천만원으로 자녀들이 대주주인 이스타홀딩스를 설립한 뒤 2개월 만에 사모펀드 등에서 100억원을 차입해 540억원 상당의 이스타항공 주식 524만2천주(68%)를 이스타항공 그룹 계열사들로부터 사들였다. 검찰은 이 의원이 범행 은폐를 위해 회계자료를 조작하도록 지시했고, 조사 과정에서 허위진술을 유도하고 회유한 정황이 확인돼 증거인멸 염려가 있어 구속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상직 의원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검찰의 체포동의안에 대한 신상발언을 하고 있다. <정기훈 기자>
이상직 의원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검찰의 체포동의안에 대한 신상발언을 하고 있다. <정기훈 기자>

 

지부는 정부와 여당에 이스타항공 회생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지부는 정부가 이스타항공을 매각하려고 인수자로 떠오른 제주항공에 긴급운영자금을 지원하고 운수권을 배분했지만 인수합병이 불발되자 방치하면서 대량해고 사태로 이어졌다고 보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7월 매각이 불발하자 그해 9월 605명을 정리해고했다. 지부는 정리해고 철회를 요구하며 이날로 221일째 국회 앞 천막농성을 하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지난 2월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2금융권과 사모펀드 등 두 곳이 예비 인수자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상직 의원은 26일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