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포항지부는 17일 오전 포스코 본사 앞에서 제철소 내 이륜차 운행금지 조치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금속노조>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최근 잇따라 발생한 산업재해 사망사고에 대해 공식사과하며 안전대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이륜차 운행을 전면금지하고, 스마트워치 배포와 CCTV 설치 같은 대책이다. 현장과 괴리된 탁상행정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포스코는 최정우 회장이 사내하청 노동자가 협착사고로 숨진 포항제철소 원료부두 사고현장을 지난 16일 방문해 사고 재발방지를 약속했다고 17일 밝혔다. 최 회장은 “고용노동부 등 정부와 관계기관의 조사에 적극 협조해 특단의 대책을 원점에서부터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이날 위험한 작업을 하는 노동자들에게 지급했던 ‘스마트워치’를 1천400여대 추가 배포하고, 제철소 내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CCTV 및 과속 단속카메라 130여대를 추가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스마트워치는 현장 근무자의 신체 이상이 감지되면 실시간으로 주변 동료들에게 즉각 구조신호를 보내 구조 골든타임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됐지만 “실효성 없는 탁상행정”이라는 증언이 이어졌다. 스마트워치 배포와 CCTV 설치 확대 같은 대책은 안전대책이 아닌 감시강화 대책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포스코는 22일부터 포항제철소 내 이륜차 운행을 전면금지한다. 지난해 12월23일 포항제철소 하청노동자 1명이 오토바이를 타고 출근하던 중 덤프트럭과 충돌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데 따른 조치다.

그런데 노동자들은 “비현실적인 대책”이라고 비판한다. 당장 포스코 하청노동자들의 출퇴근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출입증이 없는 하청노동자는 자가 차량으로 현장에 출입할 수 없는데 이륜차 없이 자동차로 20~30분 거리의 공장 간 이동은 어렵다는 것이다. 교통사고예방을 위한 실질적 대책과도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금속노조 포항지부가 확인한 고용노동부 강평자료에 따르면 포항제철소 내 교통사고예방을 위해 시야 확보가 곤란한 교차로에 정지선 및 유도선 보완, 통행 우선권 부여, 도로 내 구조물에 야간 표지판 설치 등 개선이 필요하다는 권고 의견이 담겼다.

지부 관계자는 “포스코가 내놓은 안전대책은 대부분 설비개선 없이 기존 대책을 반복하거나 재정비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불가능한 지침을 내리고, 지키지 않아서 사고가 나면 노동자 개인 책임으로 돌리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최 회장 사과 배경에 3월 주주총회를 앞두고 연임에 적신호가 켜질까 봐 압박을 느낀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15일 포스코에서 산재사고가 반복되는 것을 비판하며 “포스코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이 포스코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되도록 스튜어드십 코드를 제대로 실행해 줄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22일 열리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산업재해 청문회 역시 부담이다. 최 회장은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돼 출석을 앞두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