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노사정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한국노총과 한국경총은 최근 서울시내 한 식당에서 두 차례 만나 상견례를 가졌다. 노경총 협상 실무단에는 한국노총에서 3명, 경총에서 3명이 참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고용노동부 고위관계자가 협상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경총 협상은 현재 소리 없이 진행되고 있다. 경총측은 두 번째 만남에서 A4 용지 7장 분량의 합의문 초안을 작성해 한국노총에 전달했다. 초안에는 일자리 창출이나 노사 협력과 같은 선언적 수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노사가 임금 안정을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경총이 노동자들의 임금 양보를 협상의 재물로 삼으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하지만 한국노총이 올해 8.1% 임금인상안을 내놓은 데다, 삼성전자(5.5% 인상)·LG전자(7% 인상) 같은 대기업들이 잇따라 임금인상 계획을 발표하고 있어 노동자들의 임금 양보를 전제로 한 사회적 대타협은 물 건너간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임금을 대체할 만한 새로운 의제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노사정 관계자들이 노경총 협상과 100일 작전설을 연관시켜 해석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협상 시한을 미리 정해 놓고 의제를 끼워 맞추다 보니 좌충우돌을 피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 노동문제 전문가는 "한국노총과 경총이 밀실협상을 벌일 게 아니라 의제를 공론화하고 최선의 합의에 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한국노총과 경총은 별도의 팀을 꾸려 5월1일 노동절 마라톤 행사 개최를 논의 중이다. 행사를 함께 주최하거나, 경총 직원들이 마라톤 행사에 대거 참여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한국노총과 경총의 협력적 분위기가 6월 초 본격화할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노동 양극화 해소 위한 노사정 대타협 필요"
- 사용자단체 찾은 방하남 장관 "일자리 중심 노사관계" 주문
- 한국노총-방하남 노동부장관 ‘사회적 대화’ 공감
- 한국노총 "한국사회 통합·발전 위해 노사정 손잡자"
- 박근혜 대통령 “노사정 대타협” 주문 뒤 한국경총·한국노총 관계 급진전?
- 이희범 경총회장 "핵심 목표는 노사화합 통한 일자리 창출"
- 한국노총 찾은 박근혜 당선자 "일자리 만들기 사회적 대타협 필요"
- [이종훈·배규식 대담-박근혜 정부 노동정책 어디로 가나] “노사정 대타협 만들어 내는 정치적 리더십 필요”
- [FOCUS-박근혜 정부 고용노동정책 전망] '노동' 정책 없는 박근혜 정부, 사회적 대타협에 승부 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