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를 거치면서 고기나 라면의 소비는 늘어난 반면 냉동식품 소비는 줄어드는 등 실속·웰빙형으로 소비문화가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가 닐슨컴퍼니와 공동조사해 15일 발표한 ‘소비자 장바구니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발 금융위기가 시작됐던 2008년에 비해 지난해에는 축산물(10.9%)·수산물(6.8%)·라면(4.8%)·농산물(1.6%) 등의 소비가 늘었다.

반면에 냉동·냉장식품(-14%)·이미용품(-12.8%)·주류(-6.2%) 등은 구매가 줄었다.
대한상의는 “경제위기로 외식은 줄이고 집에서 직접 조리를 하는 비중이 늘고 있는 것”이라며 “최근의 웰빙트렌드는 냉장·냉동식품의 소비를 줄인 게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이런 추세는 20·30대 가정 등 젊은층으로 급속히 확산돼 경제위기로 쇼핑의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고 덧붙였다.
실제 20·30대 가정은 축산물 소비가 두드러졌고 40·50대는 냉동·냉장식품에 들어가는 지출을 줄이고 있었다.

20대 주부는 축산물(39.4%)·농산물(9.4%)·음료(9.1%) 등의 소비를 늘린 반면 이미용품(-5.7%)은 덜 샀다. 30대 주부 역시 축산물(14.1%)·라면(8.4%)·농산물(6.5%)의 소비를 늘렸고 냉동·냉장식품은 -0.3%로 조금 줄였다.
40대 주부는 냉동·냉장식품(-23.7%), 이미용품(-17.5%), 음료(-8.2%) 등의 소비를 줄였다. 50대도 냉동·냉장식품(-27.4%), 이미용품(-20.5%) 등의 구매를 줄였고 다른 연령대에 비해 주류(-16.4%)의 감소폭이 컸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