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여성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한 '성평등지표개발 및 측정방안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08년 우리나라의 성평등 지수는 0.594로 2005년(0.584)보다 1.7% 상승했다. 여성정책연구원이 개발한 성평등 지수는 세계경제포럼(WEF)의 성격차지수(GGI)나 월드소셜포럼(WSF)의 성평등지수(GEI)처럼 남녀 간 불평등 수준을 지수화한 것이다. 0점(불평등)에서 1점(평등)까지 값이 매겨지며 21개 지표를 8개 부문(보건·문화정보·교육직업훈련·경제활동·안전·가족·복지·의사결정)별로 산출한다.
이에 따른 성평등 지수는 2005년 0.584, 2006년 0.589, 2007년 0.594, 2008년 0.594로 산출됐다. 성평등 수준이 제자리걸음을 한 것이다. 건강수명·입원자수 등의 지표로 구성된 보건부문의 성평등 지수는 0.892로 가장 높았다. 이어 문화적인 혜택의 차이를 측정하는 문화·정보(0.872)나 교육직업훈련(0.796), 경제활동(0.771)도 상대적으로 격차가 작았다. 경제활동부문의 경우 여성 비정규직 비율이 증가해 남녀 간 임금격차가 커졌다. 반면에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감소 폭은 남성보다 적어 해당 부문 성평등 지수가 3년 전과 유사했다.
의사결정부문의 성평등 지수는 0.116점으로 가장 낮았다. 성평등 관련 각종 국제지수 분야에서 우리나라 순위가 특히 낮은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향후 정치·경제 등에서 여성의 참여 확대가 시급함을 보여 주고 있다. 또 가구주 빈곤율 등 남녀 간 복지수준 격차를 보여 주는 복지(0.323), 가사 노동시간 등 가정 내 평등도를 나타내는 가족(0.514), 인구 10만명당 범죄 피해자수 등으로 구성된 안전(0.528)도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문이었다.
김태홍 여성정책연구원 박사는 “우리나라의 성평등 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됐지만, 의사결정·복지부문과 가족부문에서 성평등 촉진을 위한 정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